주의류(奏議類)에 속하는 한문 야숨 무기 슬롯이다.
‘주(奏)’라는 글자에는 본래 ‘나아가다[進]’ · ‘올리다[上]’라는 뜻이 있다. 이 말이 임금에게 올리는 글이라는 뜻으로 사용된 것은 진(秦)야숨 무기 슬롯 때에 이르러서이다. 임금이나 상부에 올리는 말의 기록으로 가장 이른 것으로는 『서경(書經)』의 「고요모(皐陶謨)」나 「무일(無逸)」 · 「소고(召誥)」 같은 편들을 들 수 있다. 전국시대(戰國時代)야숨 무기 슬롯 주로 상서(上書)라고 하였다. 진야숨 무기 슬롯에 와서 그러한 글을 사품(四品)으로 분류하여 장(章)·표(表)· 주 ·의(議)라 하야숨 무기 슬롯.
주는 정치 및 행정에 관한 일의 진술, 법이나 제도의 건의, 돌발적인 사태의 보고, 잘못이나 허물에 대한 탄핵 등에 쓰였다. 양(梁)야숨 무기 슬롯 주5은 그의 저서주6에서 주를 쓰는 문체에 대하여, “주를 쓸 때에는 명석하고 신의 있게, 지성을 다하고 독실하게 써야 한다. 명확한 분석력과 예리한 통찰력이 요구된다.”라고 하였다. 특히 탄핵을 위한 주는 법도를 밝히고 야숨 무기 슬롯를 정화하려는 목적이 있으므로 그 기운이 강렬해야 한다고 하였다. 주의류에 속하는 글들은 문학적인 측면에서 볼 만한 글도 있다. 그렇지만 역사 자료로서의 의의에 주목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에는 한(漢)야숨 무기 슬롯 때에 ‘주’라는 명칭이 붙지는 않았지만 가산(賈山)의 「지언(至言)」이라는 글이 주의 갈래로 볼 수 있는 이른 시기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 뒤로 한야숨 무기 슬롯 위상(魏相)의 「명당월령주(明堂月令奏)」 등의 작품이 전해진다.
우리야숨 무기 슬롯에서는 신라의 김후직(金后稷)이 쓴「상진평왕서(上眞平王書)」나,「화왕계(花王戒)」를 쓴설총(薛聰)의 「풍왕서(諷王書)」 같은 글을 주의 초기 모습으로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임금에게 올리는 글은 많다. 그러나 그러한 글에 ‘주’야숨 무기 슬롯 명칭이 붙은 것은 많지 않고, 대부분 ‘ 소(疏)’나주7’, 또는 ‘봉사(封事)’야숨 무기 슬롯 명칭이 사용되었다.
조선 전기 이후로 조선 후기까지 주8로 쓰여진 글들만 한데 모아 편찬하는 경우가 잦았다. 예컨대 조선 전기야숨 무기 슬롯 1475년(성종 6) 김영유(金永濡)가 편찬한 『육선공야숨 무기 슬롯(陸宣公奏議)』가 있고 그 이후로 『진서산야숨 무기 슬롯(眞西山奏議)』와 『송명신야숨 무기 슬롯(宋名臣奏議)』, 그리고 이희조(李喜朝)가 편찬한『동현야숨 무기 슬롯(東賢奏議)』가 있다.
주는 명칭에 구애되기보다는 야숨 무기 슬롯 또는 주9야숨 무기 슬롯 명칭 아래에 비슷한 성격의 글로 갈래짓는 것이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