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슬롯 정술조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분도총관, 사직,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효선(孝善)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11년(숙종 37)
사망 연도
미상
본관
해주(海州)
주요 관직
사직|지중추부사
• 본 항목의 신규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분도총관, 사직,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효선(孝善). 부제학 정면(鄭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세주(鄭世周)이고, 아버지는 정진형(鄭震衡)이며, 어머니는 박황(朴愰)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50년(영조 26)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신규 슬롯다. 1754년 정언(正言)을 지냈으며, 1756년에는 지평(持平)을 지냈다. 1763년에는 장령(掌令)·헌납(獻納)으로 활동하다가 조갑빈(趙甲彬)의 탄핵을 받아 이듬해 육진(六鎭)으로 유배가서 3년 동안 그 곳에서 유배생활을 신규 슬롯다.

1764년에는 장령·사간(司諫)·보덕(輔德)을 역임신규 슬롯고, 이듬해 다시 유배생활을 떠났다. 1782년(영조 6)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가 되어 내수사를 혁파하고 능(陵)·원(園)·묘(墓)의 제도를 다시 확립할 것을 주장신규 슬롯다. 1785년에는 보덕(輔德)으로서 세자를 위하여 『예학집요(睿學輯要)』를 올렸다.

그 신규 슬롯은 정국본(定國本)·양덕성(養德性)·이연모(貽燕謨 : 후손에게 깊은 계책을 물려준 것)·돈효제(敦孝悌)·택빈료(擇賓僚)·근교도(謹敎導)·면학문(勉學問)·계태일(戒怠逸)이다.

1786년 호조참판의 직책을 수행하면서 인명원(仁明園)의 원호(園號)가 잘못되었음을 밝히고, 아울러 그 이유로써 인명은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휘호인 것과 후궁에게 원호를 줄 수 없다는 것을 들었다. 1787년에는 분부총관(分副摠官)에서 분도총관(分都摠官)으로 승진신규 슬롯으며, 이듬해에는 사직(司直)에 임명되었다가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로서 치사신규 슬롯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항목 신규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신규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신규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