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슬롯 장석윤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수찬, 전라좌도암행어사, 응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백영(伯永)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64년(영조 40)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덕수(德水)
주요 관직
응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무료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수찬, 전라좌도암행어사, 응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백영(伯永). 장설(張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진엽(張震燁)이고, 아버지는 장지복(張至復)이며, 어머니는 신사석(申思奭)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86년(정조 10) 별시문과 을과로 급제무료 슬롯. 1795년에는 장령(掌令)을 지냈다. 1798년에는 현풍 현감에 재직하면서 추곡하우(秋穀夏牛)의 절반은 원곡(元穀)으로 바치고 절반은 돈으로 바꿔 바치게 해줄 것을 요청무료 슬롯.

성주(星州)의 노장곡면(蘆長谷面) 10리를 현풍으로 옮겨 그 소출을 사용하게 해줄 것도 요구했고, 조창과 왜관 두 곳에 하납(下納)하는 일을 시정해 줄 것을 요청무료 슬롯. 1801년(순조 1)에는 수찬(修撰)의 직에 있으면서 최중규(崔重圭)를 유배하라는 전교의 부당성을 논하다가 왕으로부터 불경(不敬)하다는 평을 듣기도 무료 슬롯.

1802년에는 전라좌도에 암행어사로 파견되어 지방 수령들의 비리를 조사하여 이에 대해 조치해 줄 것을 요청하였으며, 그 곳의 불합리한 실정에 대한 시정을 요구무료 슬롯. 그해 응교(應敎)에 재직하다가 강진현(康津縣) 고금도(古今島)로 유배되기도 무료 슬롯.

참고문헌

『순조실록(純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정조실록(正祖實錄)』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무료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무료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무료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무료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