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조씨(昌寧曺氏) 현감공파(縣監公派) 1세 조충가(曺忠可)는 함안에 거주하였으며, 2세 조달하(曺達夏, 14691494)가 rtg 슬롯군 가례면 수성리로 이거하였다. 4세 조계헌(曺季憲, 1537년생, 후릉참봉)은 둘째 아들로 남쪽 7㎞ 거리의 화정면 상정리로 이주하였다. 그의 큰아들 조사남(曺士男, 15601592, 장악원 주부)은 임진왜란 때 곽재우(郭再祐)의 좌장군(左將軍)으로 참전하여 기강전투(岐江戰鬪)에서 순국하였다. 이 집은 셋째 아들 5세 조사영(曺士英)의 후손인 10세 조유성(曺有成, 17501808)이 살림을 많이 일구어 현재의 주택을 신씨로부터 매입하였다. 14세 조균호(曺均灝, 18541899)는 1890년대에 rtg 슬롯채를 신축(진양군에서 매입 후 이전)하였다. 15세 조기현(曺岐鉉, 1872~1953)은 최익현(崔益鉉)의주25으로3·1운동으로 3년간 옥살이를 하였는데, 1915년에 별채를 주27, 1924년에가묘(家廟)를 건축하였으며, 1948년에 rtg 슬롯채를, 1949년에는 rtg 슬롯를 중수하였다. 현종손은 19세 조병구(曺炳球, 1947년생)rtg 슬롯.
rtg 슬롯읍의 남산인 벽화산(522.1m)을 북쪽 주30으로 한 화정면 상정리는 소하천을 사이에 둔 넓은 평지의 마을rtg 슬롯. 이 마을 가운데의 넓은 평지에 이 주택이 남향으로 위치해 있다. 솟을대문, 사랑채, rtg 슬롯가 직선축의 三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배치를 바탕으로 사랑 마당의 동측에는 마굿간이 있고, 서측으로 rtg 슬롯로 들어가는 중문(中門)이 있다. 중문을 들어서면 rtg 슬롯를 중심으로 중문채, 고방(庫房)채 및 사랑채가 튼ㅁ자형으로 둘러싼 안마당이 있고, ㄱ자형의 고방채 앞에는 오래된 우물이 있다. rtg 슬롯 동쪽으로 사당(祠堂)이주34의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다. rtg 슬롯의 서쪽 후면으로는 별채와 광채가 ㄱ자형으로 배치되어 별채 마당의 영역을 이룬다. 따라서 이 주택은 세 마당 집의 구성을 취한 조선 후기 사대부가의 전형적 구성이다.
대문채는 솟을대문으로 대문의 서측은 고방, 동측은 외측(남자용 화장실)rtg 슬롯.
사랑채는 대문에 거의 정면해 있는데 전면 3칸, 측면 2칸 rtg 슬롯의 겹집이다. 동측으로 전면 2칸의 마루를 두고, 서측으로 전면 1칸, 깊이 2칸의 온돌방을 두었으며, 중앙 마루를 전후로 깊게 만들고 후면에 주36를 두었는데, 최근에 보수를 하면서 뒷벽을 막았다. ㄴ자 모양으로 rtg 슬롯된 마루의 후면 모서리에는 온돌방을 두었는데 그 방을 빈소방이라 부른다. 사랑채는 주37의 퇴적암기단에, 다듬은 퇴적암주1을 받치고, 마루의 두 기둥은 주2로 나머지 기둥은주3로 하였다. 기둥머리는 전체적으로 보와도리의 높이가 같은주39rtg 슬롯이며,가구(架構)는 5량(五樑)으로 마루 중앙에 굽은 도리를 장식적으로 추가하여 그 하부에 태극문(太極紋)을 먹으로 그렸다. 주5는주6로 받쳤고,주7는주8으로 받쳤다. 전면 추녀 아래의 달 주41[懸臺工]은 소박하게 주9를 사용하였다. 지붕은 홑처마에 팔작지붕인데, 박공(牔栱)의 위치를 안쪽으로 쏠리게 하여 용마루의 길이가 조금 짧아 보인다. rtg 슬롯채의 상량(上樑) 주11에 “단기(檀紀) 4281년 무자(戊子, 1948)”라고 쓰인 중수 연도가 있다.
rtg 슬롯채의 동측 후면에 서향한 중문채는 주43채라고도 하는데, 중문과 rtg 슬롯로 향한 주44을 가진 2칸의 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문을 들어서면 남향한 rtg 슬롯가 있는데 전면 5.5칸 측면 1.5칸의 툇집으로 전후좌우 주46의 rtg 슬롯을 취하고 있다. 1칸 안방과 1칸 마루, 1칸 건넌방의 rtg 슬롯에 안방에는 부엌의 전면으로 주47방이 딸려 있고, 건넌방에는 주13인 공루청(空樓廳)이 부속되어 있는 구성이다. 공루청은 전후 2칸의 넓은 마루로 주로 남부 지방의 상류 주택에서 rtg 슬롯의 다양한 생활 양식을 수용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침모방 옆으로는 다시 툇마루를 두어 음식을 준비하는 반빗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그 후면의 부엌은 이 지방의 일반적인 부엌 공간보다 넓게 구성되어 있다. rtg 슬롯의 기단은 두벌대로, 퇴적암을 다듬은 석재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초석은 방형으로 다듬은 것을 사용하였다. 공루 중앙의 초석은 팔각형으로 다듬었다. 기둥 머리는 거의 납도리 구조로 구성하였지만 공루의 측면에 있는 중앙 기둥은 주15위에 도리를 얹는주50 구조로 하였다. 가구는 3량(三樑)에 홑처마로 조성하였다. 공루 상부의 연등천장(椽燈天障)은 측면 중간 기둥에서 동자주 위로 충량을 보내고 그 위로 추녀를 걸고 서까래는 추녀에 맞댄 형식의 주16로 배열하였는데 매우 미려(美麗)한 구조가 펼쳐지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rtg 슬롯는 주로 근대적 특성의 상류 주거 형식을 두루 갖추었다고 볼 수
곳간채주51는 남부 지방에서 보기 드문, ㄱ자형의 평면이다. 흙바닥으로 된 3칸의 곳간이 서향으로 위치하고 직각으로 rtg 슬롯를 향하여 2칸의 공간이 있는데, 장고방(바닥을 마루로 구성), 주18이 있다. 전면 외벽은 주19, 후면의 외벽은 방화장(防火墻)으로 rtg 슬롯하고 지붕은 기와를 올린 것이 매우 고급스러운 고방이다. 주52 기단에 방주를 사용한 납도리 3량 구조이며, 디딜방앗간 위는 맞배지붕, 곳간 위로는 우진각 주53으로 rtg 슬롯하였고, 용마루의 높이는 같도록 하였다. 그 앞에 오래된 우물이 있는데, 넓은 주54을 가구식(架構式)으로 조성한 우물 정(井) 자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곳간채 앞으로는 2칸으로 된 초가집인 마굿간채가 있는데, 이 공간의 중간을 담장으로 막아 사랑채와 rtg 슬롯 영역으로 구분하고 사랑채 담 옆으로 출입문을 두었다. 사랑채 쪽의 1칸은 마굿간이며, rtg 슬롯 쪽의 1칸은 내측(여자용 화장실)이다. 이 내측의 공간은 돼지를 키우는 공간을 겸하는 곳으로 화장실로 올라가는 계단을 높게 설치하였다.
rtg 슬롯의 동쪽으로는 사당인 가묘가 있는데, 한식(韓式) 담장으로 방형의 공간을 구성하고, 전면 중앙에 주55을 두었다. 사당은 전면 1칸, 측면 1칸이고, 전면 반 칸의 공간은 마루 없는 툇간으로 rtg 슬롯하여 준비 공간을 두었고, 출입문은 4분합문(四分閤門)으로 rtg 슬롯하였다. 외벌대로 된 기단 위에 주57은주56rtg 슬롯. 기둥머리는주58에 소로수장(小櫨修粧)을 하였고, 보 위에 도리를 얹는 덧도리 구조로 만들었다. 가구는 3량의 홑처마에 맞배지붕rtg 슬롯.
별채는 초가집으로, 전면 4칸의 툇집으로 rtg 슬롯되어 있고, 마루의 전면에는 문을 두지 않은 영남 내륙 지방의 유형을 취하고 있다. 그 옆의 주22도 초가집이며 한 칸 온돌방 옆에 2칸의 흙 고방을 두었다.
의령 상정리 조씨 고가(宜寧 上井里 曺氏 古家)는 세 마당의 대규모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공간은 사랑 마당과 안마당 및 별당 마당으로 구성되며, 가묘의 영역도 있다. 겹집으로 이루어진 사랑채와 전후좌우 툇집으로 구성된 rtg 슬롯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 구성이며, rtg 슬롯의 공루는 특히 상류 주거에서도 보기 드문 공간이다. 따라서 이 주택은 18~20세기를 거치면서 증축(增築) · 개축(改築)하여 많은 변화상을 담은, 상류 주거의 대표적 가옥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