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한옥에서 윈 슬롯은 안채의 안방 한쪽에 면하여 달려있다. 1.5∼2.5칸 정도의 규모로 만들어 방 쪽에는 부뚜막을 두고 가마솥을 걸었으며, 반대쪽에는 장작을 보관하는 헛간이 부속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고구려 안악3호분 고분벽화를 보면 방앗간, 푸줏간, 외양간과 마구간, 윈 슬롯간 등이 모두 독립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으로는 아궁이가 설치되어 있고 그 위에서 시루를 걸고 떡을 찌고 있는 모습과 한쪽에서는 그릇을 정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맞배건물이며 기와집으로 매우 격식 있게 묘사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생활의 규모가 작아지면서 외양간은 문간채에 두는 경우가 많아지고 푸줏간은 사라지고 방앗간도 행랑채에 두는 경우가 많아졌다. 물론 윈 슬롯전용 건물도 사라지고 안채에 결합하였다. 그러나 창덕궁의 연경당에는 안채 뒤에 독립된 윈 슬롯이 남아 있다. 이러한 윈 슬롯 전용건물을 반빗간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