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 슬롯 트위터 윤향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참지의정사, 호조판서, 경상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시호
소도(昭度)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374년(공민왕 23)
사망 연도
1418년(태종 18)
본관
파평(坡平, 지금의 경기도 파주)
주요 관직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호조판서|경상도관찰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딥 슬롯 트위터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참지의정사, 호조판서, 경상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파평(坡平). 아버지는 문하평리(門下評理) 윤승순(尹承順)이다. 아들은 윤계동(尹季童)이며, 홍여방(洪汝方)의 매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고려 우왕 때 생원으로서 박초(朴礎) 등과 같이 불교 망국론을 역설하고 유학을 권장하라고 주장하였다.

1404년(태종 4) 지사간원사(知司諫院事)로 주1딥 슬롯 트위터으나, 남재(南在)의 부정 사실을 탄핵하려다 오히려 공주로 주2 1405년 사헌부집의를 딥 슬롯 트위터 1406년 왜적이 침입하자 경차관(敬差官) 판군자감사(判軍資監事)로 충청도에 파견되었다. 1407년 이조참의로 승진되었다가 곧 대사헌이 되었다.

다시 한성부윤으로 옮겼다가 곧 전라도관찰사로 임명되었고, 1409년 상평보(常平寶)의 설치를 건의해 시행하게 하였다. 참지의정사(參知議政事)를 딥 슬롯 트위터, 1410년 경상좌도병마도절제사 겸 계림부윤으로 임명되었다.

한 때 윤향의 조카가 윤목(尹穆)의 죄에 연좌된 탓에 중요 관직에 임용될 수 없다는 탄핵을 받았으나, 윤향이 먼저 윤목의 죄를 고발했기 때문에 태종이 중요 관직에 임명시켰다. 1412년 한성부윤을 딥 슬롯 트위터 참지의정부사에 다시 임명되었다.

1413년 공조판서로 발탁되고, 1415년 형조판서를 딥 슬롯 트위터 호조판서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위화도회군 공신들을 ‘자기 임금을 배신하고 한고조(漢高祖)를 도운 정공(丁公)의 일’에 비유해 논하고, 또 그들의 전지(田地)를 회수해야 한다는 소를 올렸다가 파직되어, 적성으로 유배되었다.

이듬해 풀려나와 참찬을 딥 슬롯 트위터 강원도 · 경상도의 관찰사를 지내고, 곧 형조판서로 다시 발탁되었다. 1418년 진하사(進賀使)로 명나라에 다녀오는 길에 평양에서 주3 전라도관찰사 재직 당시 전주부에 속하지 않던 현(縣) · 향(鄕) · 소(所) · 부곡(部曲) 딥 슬롯 트위터 전주부에 합치시켜놓았다. 시호는 소도(昭度)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태종실록(太宗實錄)』
주석
주1

지사간원사 딥 슬롯 트위터 : 태종실록8권, 1404년(태종 4) 7월 1일. "김희선을 대사헌으로, 윤향을 지사간원사로 하는 등 대간의 대폭 인사 개편"

주2

공주 유배 : 태종실록8권, 1404년(태종 4) 10월 22일. "삼성의 관리인 정역·조휴·윤수·안성·윤향 딥 슬롯 트위터 유배시키다"

주3

평양에서 사망 : 태종실록35권, 1418년(태종 18) 5월 17일.. "형조 판서 윤향의 졸기"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딥 슬롯 트위터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