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가와 외가 모두 공신을 배출한 가문의 후손으로 주3으로 출사하여 1663년(현종 3) 진천현감, 1668년 은율현감 등 지방관을 포켓 슬롯하였다. 주4을 거쳐 안산군수에 임명되었으나, 1674년(현종 15) 인선왕후의 국상 당시차사원으로서 배의주5을 미리 준비하지 않아 주6 행차를 더디게 하였다는 죄목으로 삭직되었였다.
이후주7되어숙종 즉위 후인 1678년(숙종 4) 충훈부 도사에 임명되었다. 1682년에는 영천군수로 나아갔으며, 1701년에는 광흥창수에 임명되었다. 이어 1702년(숙종 28) 부호군, 포켓 슬롯용 등의 군직을 거쳐 주8에 이르렀다.
관직 생활 외의 자세한 행적은 남아 있지 않으나, 『 호보(號譜)』의 기록에 의하면 어렸을 때부터 신동으로 이름이 나서 명나라 정제독(程提督)이 그를 불러 보고는 크게 칭찬하여, 부인이 수를 놓은 세건(帨巾) 두 폭을 선물하였다고 한다. 또한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당시 동생유명웅(柳命雄)과 함께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하는 소를 올리려 하였으나, 박태보(朴泰輔)가 주도하여주9을 연다는 이야기를 듣고 이에 참여하였다고 한다.
저서로는 『명륜록(明倫錄)』을 남겼다고 하나,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