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게임 슬롯 머신 김간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연산현감,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학자.
이칭
직경(直卿)
후재(厚齋)
시호
문경(文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46년(인조 24)
사망 연도
1732년(영조 8)
본관
청풍(淸風)
출생지
광주(廣州)
주요 저서
동유예설(東儒禮說)|예기유집(禮記類輯)|후재집(厚齋集)
주요 관직
연산현감|지중추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한게임 슬롯 머신은 조선 후기 연산현감,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학자이다. 박세채의 제자로서 노론을 대표하는 학자로 활동하였으며, 산림(山林)으로 여러 차례 벼슬에 임명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학문 연구에 매진하였다. 특히 예학에 밝아 『동유예설(東儒禮說)』, 『예기유집(禮記類輯)』 등을 집필하였다.

정의
조선 후기 연산현감,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학자.
가계 및 인적 사항

한게임 슬롯 머신(金榦)의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직경(直卿), 호는 후재(厚齋)이다. 생부는 관성재(觀性齋) 김도(金濤)이며, 생모는 한담(韓曇)의 딸이다. 출생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백부(伯父)인 김수(金洙)에게 입양되었다.

주요 활동

1668년(현종 9) 대과 초시에 1등으로 급제한게임 슬롯 머신지만 최종적으로는 합격하지 못한게임 슬롯 머신다. 이후 주1으로 천거되어 여러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대부분 나아가지 않고 처사로서의 풍모를 보이며 학문에 매진한게임 슬롯 머신다.

20대에 서인의 핵심 인물인 송시열(宋時烈)한게임 슬롯 머신채(朴世采)를 연달아 만난 후 성리설(性理說)과 예설(禮說)에서 가르침을 받았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한게임 슬롯 머신채의 주2을 자처하며 정치적‧학문적 계승자로 활동한게임 슬롯 머신다. 송시열과 박세채가 사후 공격을 받을 때에도 지속적으로 변호하는 글을 올리며 두 스승을 옹호한게임 슬롯 머신다. 기해예송에서의 논의를 보고윤휴와 절교한 바 있다.

스승 한게임 슬롯 머신채는 노‧소 일방으로 자처하지 않았으나, 갑술환국이후에는노론의 입장으로 기울어진 바 있다. 이에 한게임 슬롯 머신 또한 노론의 입장에 서게 되었으며, 최석정(崔錫鼎)의 『예기유편(禮記類編)』 등에서 소론정권이 성립된경종조에는 조정으로부터 중용되지 못한게임 슬롯 머신다.

영조가 즉위한 후에는 산림으로서 융숭한 대우를 받으며 공조참의, 대사헌, 공조판서, 우참찬 등 여러 관직에 임명한게임 슬롯 머신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았다. 1725년(영조 1) 8월 영조의 긴밀한 권유로 인해 주3하여 일곱 조목의주4를 올렸을 뿐이었다. 그러나 주5과 관련한 자문에는 지속적으로 응하고, 『맹자(孟子)』‧『중용(中庸)』 · 『소학(小學)』 등의 주6를 지어 올리는 등 산림으로서의 책임을 다한게임 슬롯 머신다.

학문과 저술

스승 박세채의 학문을 이어받아 주자정론(朱子定論)을 고수한게임 슬롯 머신으며, 한게임 슬롯 머신당이나허목의 학설이나양명학 등의 이설을 경계하였다.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어 『동유예설(東儒禮說)』‧『예기유집(禮記類輯)』 한게임 슬롯 머신 저술하였다.

성리설에도 밝아 당시 노론 내에서 철학적 쟁점이 한게임 슬롯 머신던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논쟁에서 낙론계(洛論系)의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에 동조한게임 슬롯 머신다.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이견이 있어 김창협의 학설을 비판하기도 한게임 슬롯 머신다. 문집으로 『후재집(厚齋集)』이 있다.

상훈과 추모

1758년(영조 34) 문경(文敬)의 시호가 내려지고, 의정부 영의정에 증직한게임 슬롯 머신다.

참고문헌

원전

『승정원일기』
『한게임 슬롯 머신왕조실록』

논문

유영옥, 「조선후기 경학가와 예학가로 기억해야 할 한게임 슬롯 머신(金簡)」(『연보와 평전』 4, 부산대학교 점필재 연구소, 2010)
이선열, 「김창협과 한게임 슬롯 머신의 지각 논변」(『동양철학연구』 62, 동양철학연구회, 2010)
정경희, 「17세기 후반 ‘전향노론’ 학자의 사상 –박세채‧한게임 슬롯 머신을 중심으로-」(『역사와 현실』 13, 한국역사연구회, 1994)
주석
주1

학문과 덕행, 곧 배움과 실천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정통의 혈통에서 정통으로 이어받음.   우리말샘

주3

궁중에 들어가 임금을 알현하던 일.   우리말샘

주4

한게임 슬롯 머신 시대에, 일정한 격식을 갖추지 않고 사실만을 간략히 적어 올리던 상소문.   우리말샘

주5

국민 전체가 복상(服喪)을 하던 왕실의 초상. 태상왕(太上王), 상왕(上王), 왕, 왕세자, 왕세손 및 그 비(妃)의 상사(喪事)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6

책을 읽으며 얻은 바를 그때그때 적어 놓음. 또는 그런 책.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한게임 슬롯 머신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