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슬롯은 여인들이 몸에 지니고 다니던 장식구의 일종으로 고려시대의 기록에도 나타난다. 『고려도경(高麗圖經)』의 기록에는 고려의 귀부인들은 문라와 화능의 옷을 입고 금향낭(錦香囊)을 찬다고 했다.운봉수향낭은 보통의 향낭에 비해 크기가 크며 정교카드 슬롯 화려한 궁중자수기법을 사용카드 슬롯 있어 궁중의 내실에 장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형태는 가운데 둥근 몸체를 중심으로 위카드 슬롯 큰 나비의 형상이 덮여 있고, 아래카드 슬롯 연꽃으로 받침을 하였다. 향낭 위에는 매듭을 달아 장식카드 슬롯 끝에 긴 고리를 만들어 걸게 하였다. 양 가장자리에는 위에서부터 각색의 끈목을 늘어트려 장식하였다. 고리에서 끈목장식까지의 총 길이는 87.5㎝이다.
몸체 자수 부분의 바탕천은 백색으로 무늬가 없이 짠 공단을 사용했으며 흑 · 백 · 청 · 홍 · 녹 · 황색의 견사로 자수하였다. 자수의 기법은 평수 · 자련수 · 매듭수 · 자릿수 · 이음수로 수놓았다. 상단카드 슬롯 나비 모양으로 만든 테두리 안에 날개를 펼친 큰 나비를 정면을 향하도록 대칭이 되게 수놓았다. 나비의 날개카드 슬롯 꽃을 넣어 카드 슬롯했다.
중단에는 가운데 세 겹의 줄로 원을 두르고 그 안에 상하로 날고 있는 오채봉황을 배치카드 슬롯 여백에는 오색구름을 채워 넣었다. 위쪽의 봉황은 불로초를 입에 물고 있다. 가장 자리카드 슬롯 운기(雲氣) 형상의 테두리와 보문을 둘러 장식했다.
하단은 6개의 꽃잎으로 구성된 연꽃이 받치고 있는 형상으로 각각의 꽃잎카드 슬롯 5마리의 박쥐와 불로초를 수놓았다. 박쥐는 장수를 기원하는 길상문양으로 5마리의 박쥐는 수(壽), 부(富), 강녕(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 등 오복을 상징한다.
카드 슬롯의 외곽선은 금종이로 싼 실로 둘렀다. 카드 슬롯 윗부분의 걸이장식은 다홍색의 주1를 써서 도래매듭, 생쪽매듭, 가지방석매듭으로 장식카드 슬롯 양쪽 생쪽매듭 끝에는 아래 몸체와 연결하여 오색사로 짠 동다회를 달아 장식적인 효과와 더불어 기능적인 효능을 더하였다. 매듭에는 부분적으로 연금사를 말아 감아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양옆으로는 각색 동다회 끈목을 술처럼 길게 늘어뜨려 장식 하였으며 끈목의 위쪽은 금실을 감아 꾸미고 아래쪽 끝에는 도래매듭을 맺어 마무리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