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스 캐터(龍門倉)은 『고려도경(高麗圖經)』에 따르면 개경 나성(羅城)의 서쪽 문인 선의문(宣義門) 밖에 있었다고 한다. 1066년(문종 20)에 좌창(左倉)·우창(右倉)·운흥창(雲興倉)과 함께 슬롯 스 캐터에도 근시(近侍)로 별감(別監)을 삼은 것으로 보아 고려 전기 슬롯 스 캐터의 위상이 좌창·우창·운흥창에 버금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슬롯 스 캐터에는 간수군(看守軍)으로 장교 2명, 산직장상(散職將相) 2명, 군인 15명이 배치되었다. 슬롯 스 캐터에 배치된 간수군의 수는 좌창·우창(산직장상 2명) 및 운흥창(장교 2명과 군인 5명)보다 많아, 고려 전기 슬롯 스 캐터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슬롯 스 캐터의 재원은 고려시대의 다른 중요한 창고와 마찬가지로 군현에서 거둔 전조(田租)였다.
1064년(문종 18)에 예성강의 배 107척으로 6번이나 슬롯 스 캐터의 쌀을 인주(麟州), 용주(龍州), 철주(鐵州), 선주(宣州), 곽주(郭州), 함원진(咸遠鎭)에 보내어 군량에 충당한 것이나 1281년(충렬왕 7) 10월 슬롯 스 캐터의 병량(兵糧)을 영부(領府)에 지급한 예에서 보듯이 슬롯 스 캐터은 본래 군수를 담당한 관청이었다. 그렇지만 슬롯 스 캐터은 국고의 성격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슬롯 스 캐터의 곡식은 구휼에도 많이 사용되었다. 1052년(문종 6) 4월 슬롯 스 캐터의 곡식 8000석을 염주(鹽州)와 백주(白州)에 옮겨서 농민에게 지급한 사실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것은 조선시대에 군자곡이 구휼에 많이 사용된 것과 같은 이치이다. 또 충선왕이 복위 후 구휼기관으로 설치한 전농사(典農司)에서 거둔 전조의 일부를 슬롯 스 캐터에 이속할 정도로, 슬롯 스 캐터은 고려 후기에도 상당한 위상을 가진 재정기관(창고)으로 존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