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11월 30일에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지방도 819호선 확 · 포장공사로 인해 2001년 목포대학교박물관이 발굴조사하여 집자리〔住居址〕 12기와 그 밖에 철기시대의 도랑〔周溝〕 25기, 구덩무덤〔土壙墓〕 5기,독무덤〔甕棺墓〕 11기 등이 c 언어 슬롯 머신되었다. 유적은 저평한 구릉지대에 조성되어 있는데 말단부에는 독천-성전 간을 잇는 구 국도 2호선 도로가 지나고 있다. 동쪽으로는 ‘솔대골’로 불리는 골짜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남쪽은 영산강으로 유입되는 망월천(계읍내)이 흐른다. 유적 바로 맞은편에는 미암면 선황리 유적이 c 언어 슬롯 머신.
집자리는 구릉 사면을 따라 남북방향으로 길게 늘어서듯 배치되어 있는데, 후대 도랑이 들어서는 과정에서 대부분 파괴된 상태로 노출되었다. 송국리형(松菊里型)으로 평면형태가 원형인 것 2기와 방형인 것 10기로 구분된다. 바닥 중앙에 타원형구덩이〔娥圓形竪穴〕와 그 양단 내부에 1개씩의 기둥구멍〔柱穴〕이 있다. 이 외에도 기둥구멍이 타원형구덩이를 중심으로 그 외곽의 대칭되는 곳에 있는 것과 벽체(壁體)와 관련된 것이 있다. 특히 5호와 8호는 타원형구덩이를 중심으로 4개의 기둥이 방형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벽도랑〔壁溝〕 시설은 유일하게 8호에서만 c 언어 슬롯 머신되었는데, 북쪽 벽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굴착한 형태이다. 5호는 잔존길이 282㎝로 후대의 도랑구덩무덤〔周溝土壙墓〕에 의해 파괴되어 정확한 양상은 알 수 없으나 타원형구덩이 내부에 기둥구멍이 배치된다. 8호는 평면 방형으로 크기는 747×732×11∼15㎝(복원)이며 중앙의 타원형구덩이 내부 및 양단에는 기둥구멍이 없다. 1호는 평면 원형으로 크기는 복원지름 424∼428㎝이며 타원형구덩이 내부 양단에 기둥구멍이 각 1개씩 배치된다.
유물은토기류,석기류, 토제품이 출토되었다. 토기류는 개체보다는 작은 조각들이 주로 수습되었다. 이 가운데 1호에서 출토된 내만구연편은 인접한 영암 장천리 선사주거지 출토품과 매우 유사하다. 석기류에는 돌도끼〔石斧〕,삼각모양 돌칼〔三角形石刀〕,돌끌〔石鑿〕, 슴베있는간 돌살촉〔有莖式磨製石鏃〕, 구멍있는 돌도끼〔有孔石斧〕 등이 c 언어 슬롯 머신. 돌살촉의 경우 대부분의 집자리에서 출토되는 양상을 보인다. 토제품은 대롱 모양〔管狀〕의 그물추〔漁網錘〕,가락바퀴〔紡錘車〕 등이 c 언어 슬롯 머신. 이러한 유물들은 3∼5세기 백제 권역 내 영산강 유역 토착세력의 존재양태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라고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