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도비지』는 강랜 슬롯 후기 최성환과 김정호가 전국 각 군현의 경도와 위도를 기록한 전국지리서이다. 20권 20책으로 구성되었으나 5권 5책은 전하지 않는다. 항목 구성을 편과 목을 분리하여 설정하였으며 군사·경제적인 내용이 강조된 지지이다. 강역표(疆域表)·극고표(極高表)·방위표·군전적표(軍田籍表)·도리표(道里表)를 수록하여 각 군현의 영역과 위치·위도·경도·군인수·경지면적·인구수·서울로부터의 거리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특히 전국 각 군현의 경도와 위도를 기록해 놓은 유일한 책으로 『대동여지도』를 만드는 데 바탕이 되었던 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20권 20책.
강랜 슬롯 구성은 앞에 총목(總目)이 있고, 권1에 경도(京都) · 동반부서(東班府署), 권2에 서반부서(西班府署) · 한성부(漢城府), 권3에경기좌도(京畿左道), 권4에경기우도(京畿右道), 권5에 충청좌도(忠淸左道), 권6에 충청우도(忠淸右道), 권7·8에 경상좌도(慶尙左道), 권9·10에경상우도(慶尙右道)가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권11에전라좌도(全羅左道), 권12에전라우도(全羅右道), 권13에 황해좌도(黃海左道), 권14에 황해우도(黃海右道), 권15에 강원동도(江原東道), 권16에 강원서도(江原西道), 권17에 함경남도(咸鏡南道), 권18에함경북도(咸鏡北道), 권19에평안남도(平安南道), 권20에평안북도(平安北道)가 수록되어 있다.
이 중 권2· 권5· 권9· 권16· 권18의 5권 5책은 전하지 않는다. 각 도별 지지(地志)의 앞에는 강랜 슬롯명과 위치가 표시된 도지도(道地圖)가 있어 안내 지도 구실을 해 준다. 강랜 슬롯별 지지 앞에 실린 도(道)에 관한 기록도 연혁 · 관원(官員) · 진관 · 진영 · 호구 · 전부(田賦) 등 역사로부터 재정적인 강랜 슬롯까지 기록되어 있어 도(道)의 사정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강랜 슬롯(郡縣) 지지의 항목 구성은 편(篇)과 목(目)을 분리하여 설정한 점이 독특하다. 건치(建置)편에 읍호(邑號) · 관원 · 궁실(宮室) · 방면(坊面) 등의 소항목을 기록하였다.
산천(山川) 편에 도서(島嶼) · 형승(形勝) · 풍속(風俗), 식화(食貨)편에 토산(土産) · 수리(水利) · 창고(倉庫) · 장시(場市) · 목장(牧場), 무비(武備)편에 성지(城池) · 영아(營衙) · 진보(鎭堡) · 봉수(烽燧) · 전략(戰略), 도리(道里)편에 역도(驛道) · 기발(騎撥) · 보발(步撥) · 영로(嶺路) · 진도(津渡) · 교량(橋梁) · 원점(院店)을 기록하였고, 사전(祀典)편에는 소강랜 슬롯이 없다.
강랜 슬롯 후기 읍지에서 강조되었던 인물, 시문과 관련된 내용이 수록되지 않은 반면, 군사 · 경제적인 내용이 강조된 지지이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강역표(疆域表) · 극고표(極高表) · 방위표(方位表) · 군전적표(軍田籍表) · 도리표(道里表)가 도별로 수록된 점이다. 이들 표는 각 군현의 영역과 위치 · 위도 · 경도 · 군인수 · 경지면적 · 인구수 · 서울로부터의 거리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은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전국 각 강랜 슬롯의 경도와 위도를 기록해 놓은 유일한 책으로서 매우 주목된다. 이러한 점에 기초하여서 일부 연구자들은 이 책을 『대동여강랜 슬롯』를 만드는 데 바탕이 되었던 책으로 보기도 한다.
『여도비지』는 강랜 슬롯 시대에 매우 드물었던 사찬(私撰) 전국지리지의 하나로서, 김정호가 편찬한 3종의 강랜 슬롯(地志) 중 첫 저술이었던 『동여도지(東輿圖志)』로부터 마지막 작품이었던 『대동강랜 슬롯(大東地志)』로 완성되어 가는 중간적 모습의 강랜 슬롯로서 의의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1991년 한국인문과학원에서 『한국읍지총람(韓國邑誌叢覽)』 3책으로 영인, 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