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777 경상도지도 ()

목차
관련 정보
경상도지도 / 거창
경상도지도 / 거창
인문지리
문헌
경상감영에서 전국 군현지도집 편찬사업의 일환으로 1872년에 제작된 지도. 군현지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감영에서 전국 군현지도집 편찬사업의 일환으로 1872년에 제작된 지도. 군현지도.
내용

9책. 채색 필사본. 크기는 세로 35cm, 가로 25cm이고, 개별 슬롯 머신 777의 크기는 모두 다르나 세로 120cm, 가로 80cm 내외가 다수이다.

1871년 신미양요를 겪은 뒤 전국적인 지지와 슬롯 머신 777 편찬 작업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다른 도의 슬롯 머신 777가 낱장으로 장책되어 있는데 비하여 이 슬롯 머신 777는 9권의 책으로 묶여져 있다. 각 슬롯 머신 777책에 수록된 슬롯 머신 777는 군·현슬롯 머신 777와 목장, 진(鎭)의 슬롯 머신 777를 포함하여 총 104매이다.

각 첩별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제1첩에 거창·청도·초계·함양·예천·영천(榮川)·흥해·풍기·양산·함안·곤양, 제2첩에 영해·밀양·청송·동래·좌수영·선산·인동·칠곡·순흥·하동·거제, 제3첩에 진주목장·울산목장·분산(盆山)·독용(禿用)·금오(金烏)·금정(金井)·조령(鳥嶺)·가산(架山)·천생(天生)·적량(赤梁), 제4첩에 합천·김산·영천(永川)·영덕·고성·의성·경산·남해·개령이 수록되어 있다.

제5첩에 창녕·사천·기장·삼가·비안·웅천·자인·영양·칠원·문경·안의, 제6첩에 의령·하양·용궁·봉화·청하·언양·진해·진보·함창·지례가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제7첩에 고령·현풍·산청·단성·군위·의흥·신녕·예안·연일·장기·영산이 수록되어 있다.

제8첩에 장목포(長木浦, 거제)·개운포(開雲浦, 동래)·두모포(豆毛浦, 동래)·서평포(西平浦, 동래)·서생포항(西生浦項, 울산)·미조항(彌助項, 남해)·다대(多大, 동래)·부산(釜山, 동래)·지세포(知世浦, 거제)·조라포(助羅浦, 거제)·옥포(玉浦, 거제)가 수록되어 있다.

제9첩은 당항진(唐項鎭, 고성)·사량진(蛇梁鎭, 고성)·구소비진(仇所非鎭, 고성)·적량진(赤梁鎭, 진주)·미조항진·평산포진(平山浦鎭, 남해)·섬진진(蟾津鎭, 광양)·영등진(永登鎭, 거제)·가배량진(加背梁鎭, 거제)·율포진(栗浦鎭, 거제)·지세포진·옥포진·조라포진·장목포진·천성진(天城鎭, 웅천)·가덕진(加德鎭, 웅천)·안골포진(安骨浦鎭, 웅천)·제포진(薺浦鎭, 웅천)·구산진(龜山鎭, 칠원)·남촌진(南村鎭, 고성)으로 되어 있다.

제1첩, 제2첩, 제4첩∼제7첩에는 62매의 군·현슬롯 머신 777와 1매의 군사슬롯 머신 777(左水營), 제3첩에는 2매의 목장슬롯 머신 777와 8매의 산성슬롯 머신 777, 제8첩과 제9첩에는 해안가에 위치한 31매의 진보(鎭堡)슬롯 머신 777가 수록되었다.

그런데 8첩과 9첩에는 거제의 장목포진, 조라포진, 옥포진, 지세포진, 남해의 미조항진의 슬롯 머신 777가 중복 실려 있는데 8첩에 수록된 슬롯 머신 777가 초본이고, 9첩에 수록된 슬롯 머신 777들이 정서본으로 보인다.

이 슬롯 머신 777는 조선 정부에서 마지막으로 편찬한 전국 군·현슬롯 머신 777의 일환으로 작성된 슬롯 머신 777로서 군·현슬롯 머신 777 중에서도 내용이 가장 상세하고 정밀한 슬롯 머신 777라는 특징을 지닌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군·현슬롯 머신 777 외에도 각 군·현에 소속된 산성, 목장, 진보 등 군사 지역의 슬롯 머신 777를 별도로 작성함으로써 일반 슬롯 머신 777 이외의 지역에 설치된 특수 지역의 슬롯 머신 777도 포함하였다. 군사지역의 슬롯 머신 777를 별도로 그렸음을 통해 당시 슬롯 머신 777 작성의 의도가 국방과 관련된 것이었음을 짐작케 한다.

개항 후 변모되기 직전의 각 군·현의 모습을 그려 놓았기 때문에 조선 시대 경상도 각 지역의 초상화라 할 수 있는 슬롯 머신 777이다. 그러나 경상도 71개 군·현 중 대읍(大邑)이었던 대구·안동·경주·울산·창원·상주·진주·성주·김해 등 9개 지역의 슬롯 머신 777가 누락되어 아쉽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