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4년(숙종 30) 제작. 높이 84.2㎝. 1980년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
쌍룡(雙龍)의 용뉴(龍鈕 : 종의 꼭지부분 장식)와 하대(下帶)를 지닌 혼합형 종으로서, 하나의 가느다란 몸체로 이루어진 두 마리의 용뉴는 그 머리가 왜소하면서도 휘어진 혀와 이빨이 강조되어 괴수처럼 표현되었으며 턱 밑에 붙은 보주가 천판(天板)까지 연결되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
천판 외연에는 1조의 융기선이 돌려지고 상대(上帶) 없이 종신(鐘身) 상부에 바짝 붙여 방형의 연곽(蓮廓)을 4면에 두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 이 연곽대에는 호형(弧形)을 이루며 엇갈리게 표현된 파도문을 시문하였고, 내부의 연뢰(蓮蕾)는 원권(圓圈)을 두른 5잎의 연화 위에 얕게 돌기된 형태이다.
그리고 연곽과 연곽 사이에는 원권의 범자문(梵字文)을 상부에 배치하고 이 범자문 아래로 연꽃가지를 들고 구름 위에 서있는 보살상이 1구씩 부조되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
일반적인 범종의 범자문이 상대처럼 종신 상부에 돌려지는 것과 달리 연곽과 연곽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그 수효가 4개로 줄어들었고, 그 바로 아래 보살상이 매우 작은 크기로 배치된 점이 이색적이다.
한편 종신 하단부를 돌아가며 크고작은 방형의 명문판(銘文板)을 별도로 붙여 양각시켰으며, 종구(鐘口) 부분에는 하대를 만들어 연당초문을 장식하였으나 문양이 거칠고 매우 도식적으로 처리되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 명문에 의하면 이 종은 원래 태백산 대흥사(大興寺)의 대종으로 100근(斤)의 중량을 들여 개주(改鑄)한 것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