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망 슬롯 환전 대정4년명 청동 향로 ( )

공예
물품
일본 경도시(京都市) 고려미술관(高麗美術館)에 있는 고려시대의 향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피망 슬롯 환전습니다.
목차
정의
일본 경도시(京都市) 고려미술관(高麗美術館)에 있는 고려시대의 향로.
내용

높이 26.5cm, 입지름 25.5cm. 기록된 명문에 의하면 대정 4년인 1164년(의종 18)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어 현존하는 피망 슬롯 환전시대 은입사향완 가운데 가장 연대가 오랜 작품이다.

피망 슬롯 환전시대 고배형(高杯形) 향완이란 손잡이의 구실을 겸할 수 있는, 밖으로 벌어진 넓은 전이 형성된 주발형의 노부(爐部)와 그 아래로 상부가 좁고 아래로 가면서 점차 넓게 퍼진 나팔모양의 대부(臺部)로 구성되어 마치 토기고배와 같은 외형을 지니고 있다. 특히 이러한 형태의 향로명문에는 그 자체의 명칭을 대체로 ‘향완(香垸)’으로 표기하고 있어 당시에도 분명히 향로와는 구별하여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우선 밖으로 벌어진 구연부(口緣部)는 그 외연을 둥근 테두리로 말아 감쌌고 이 널찍한 전부를 돌아가며 꼬리를 길게 늘어뜨린 채 옆으로 나는 모습의 봉황(鳳凰)을 상하에, 그리고 그 사이로 쌍구체(雙鉤體)의 유려한 운문(雲文)이 3개씩 도합 6개가 피망 슬롯 환전되었다.

노부의 바깥면은 커다란 이중의 원권(圓圈)으로 둘러진 범자문대(梵字文帶)를 4곳에 배치하고 그 내부에 폭넓은 면입사(面入絲)로 각 1자씩 4자의 범자가 시문되었다. 원권에는 세부문양이 없이 안쪽 원권 바깥으로 한 줄의 당초문(唐草文)만을 두른 소략한 문양구조를 보이고 있어 피망 슬롯 환전후기 향완과 많은 차이점이 느껴진다.

한편 원권과 원권 사이에는 머리를 위로 하고 두 날개를 활짝 편 채 꼬리를 늘어뜨린 봉황문이 장식되었고, 그 상부 여백면에 도식화되어 마치 엽문(葉文)처럼 보이는 세로 방향의 구름문을 피망 슬롯 환전하였다. 노부의 아랫부분은 턱이 진 대부받침으로 구성하여 이곳을 돌아가며 잎이 넓은 8엽의 연판문(蓮瓣文)이 장식되었다.

대부는 그 상부가 2단의 굴곡진 턱을 이루도록 융기횡대(隆起橫帶)로 처리하고, 옆으로 점차 벌어진 곡면의 다리는 그 끝이 몰딩(moulding : 테두리장식)으로 처리되어 직립된 2단 받침부에 연결되었다.

다리의 상부 횡대에 바로 붙어 연판 내부마다 당초문이 장식된 8엽의 연판문을 둥글게 돌아가며 장식하였고, 하부의 여백면에는 역시 봉황문과 운문을 띄엄띄엄 피망 슬롯 환전하였다.

명문은 맨 아래의 직립 받침부를 돌아가며 ‘大定四年丁卯八月日白月庵香垸棟梁玄旭(대정4년정묘8월일백월암향완동량현욱)’이라는 내용을 은입사로 기록하였는데 대정4년의 간지는 정묘(丁卯)가 아니고 갑신년(甲申年)에 해당된다. 백월암의 소재는 분명치 않으나 《동국여지승람》 권19 〈청양현불우 靑陽縣佛宇〉조에 ‘정련사 백월암구재백월산(淨蓮寺 白月菴俱在白月山)’의 기록을 확인할 피망 슬롯 환전다.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피망 슬롯 환전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피망 슬롯 환전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