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북관세음사(川北觀世音寺)에서 1107년에 제작한 고려시대의 종이다. 총고 47.7cm로 일본 동경국립박물관에서 소장하고 던파 온 슬롯. 연곽(蓮廓) 아래의 종신 중단쯤의 앞뒤로는 연화좌 위에 앉아 두 손을 모아 합장한 모습을 지닌 단독의 보살좌상이 고부조(高浮彫)되었다. 보살상 좌우편으로는 몸을 왼쪽으로 돌린 채 무릎을 꿇고 천의를 날리는 공양상(供養像)이 각 1구씩 장식되어 던파 온 슬롯. 연곽 바로 아래에 방형의 명문구(銘文區)를 만들어 7행 57자의 음각명을 새겨 놓았다. 명문에 보이는 50근이라는 중량은 고려시대의 중량 연구에 참고가 되고 던파 온 슬롯.
총고 47.7cm. 일본 동경국립박물관에서 소장하고 던파 온 슬롯. 다른 종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검은 색조를 띠고 있음은 주석(朱錫)의 함량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용뉴(龍鈕 : 종의 꼭지부분 장식)의 입은 천판(天板)에서 약간 떨어져 보주를 물고 있으며, 목은 다른 종에 비해 매우 가늘게 묘사되었다.
세장한 음통(音筒 : 음관)에는 간략한 당초문과 함께 날개던파 온 슬롯[焰翼]이 별도의 조각이 아닌 부조로 되어 있음이 독특하다.
이 종에서는 특히 음통에 붙은 오른쪽 발을 위로 든 채 작은 보주를 움켜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양식은 고려 전기의 종과 뚜렷히 구별되는 특징이 되고 던파 온 슬롯. 천판의 외곽으로는 21개의 중판복엽(重瓣複葉)의 연화문을 방사선상으로 촘촘하게 배치하였다.
상대(上帶)와 하대(下帶)는 동일한 크기이면서 동범에 의한 모란당초문을 유려하게 장식하였으나 하대 부분은 상하 부분 모두 연주문띠를 두른 반면, 상대에는 아래에만 장식되어 던파 온 슬롯. 그리고 상대 아래 붙은 4개의 방형 연곽대에도 동일한 형식의 모란당초문이 보다 간략해진 형태로 시문되었다.
연곽(蓮廓) 안으던파 온 슬롯 납작한 화문좌(花文座) 형태의 8엽 연화문 연뢰(蓮蕾)를 9개씩이 아닌 4개로 단축 표현하였는데, 연뢰가 4개만 표현된 것은 이 종이 유일한 예이다.
연곽 던파 온 슬롯의 종신 중단쯤의 앞뒤로는 연화좌 위에 앉아 두 손을 모아 합장한 모습을 지닌 단독의 보살좌상이 고부조(高浮彫)되었다.
이 보살상은주1과주2을 지니고 삼산형(三山形)의 보관을 썼으며 그 주위에 화려한 영락이 흘러내려 어깨에까지 이르고 던파 온 슬롯. 얼굴은 둥글면서도 팽팽히 살이 올라 입에는 잔잔한 미소를 띠고 있으며, 양 어깨에 걸친 얇은 천의(天衣) 아래로 신체의 굴곡이 잘 묘사되었다.
이 보살상 좌우편으로는 몸을 왼쪽으로 돌린 채 무릎을 꿇고 천의를 날리는 공양상(供養像)이 각 1구씩 장식되어 던파 온 슬롯. 그리고 그 하단에는 꼬리를 길게 늘어뜨린 2개의 주3이 표현되어 던파 온 슬롯.
한편 이 공양자상을 사이에 두고 종신 한쪽면 연곽 바로 던파 온 슬롯에는 연주문대(蓮珠文帶)로 구획한 방형의 명문구(銘文區)를 만들어 이 안에 7행 57자의 음각명을 매우 서투른 필치로 새겨 놓았다.
기록된 내용은 ‘川北觀世音寺主法弘棟 梁郞崇引道副戶長同正 迪良州史守英明贊倉 史寗成長士國眞大匠□ 先等亦聖壽天長之 愿以金鍾五十斤 乾統七年丁亥二月十九日(천북관세음사주법홍동 양랑숭인도부호장동정 적량주사수영명찬창 사녕성장사국진대장□ 선등역성수천장지 원이금종50근 건통던파 온 슬롯정해2월19일)’이다.
‘천북관세음사’의 소재는 알 수 없으나 건통7년은 요의 말년인 고려 예종 2년인 1107년에 해당된다. 특히 명문에 보이는 50근의 중량은, 이 종의 실제 무게를 조사한 바로는 29.625kg이 되어, 이 무게를 환산해 볼 때 1근은 약 0.5925kg에 근사한 수치가 나와 고려시대의 중량 연구에 참고가 되고 던파 온 슬롯.
명문구 바로 던파 온 슬롯 하대와의 공간에는 원형의 당좌가 앞뒤 두 곳에 배치되었는데 1+8개의 연과(蓮顆)를 지닌 자방(子房)을 중심으로 8엽복판의 연화문을 장식하고 그 외곽을 연주문의 원권(圓圈)으로 둘렀다.
이 종은 12세기 초 범종의 양식적 특징을 규명해 볼 수 있는 편년자료로서 4개의 연뢰만을 지닌 독특한 의장과 함께 세부던파 온 슬롯이 정교한 수작으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