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플 슬롯 양단 ()

목차
관련 정보
의생활
개념
수자직(朱子織) 바탕에 무늬가 직조되어 있는 비교적 두꺼운 한복용 단(緞)직물.
이칭
이칭
단(緞), 자카드(jacquard)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메이플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양단은 수자직(朱子織) 바탕에 무늬가 직조되어 있는 비교적 두꺼운 한복용 단(緞)메이플 슬롯이다. 양단은 수입된 서양의 단(緞)메이플 슬롯을 기존의 무늬가 있는 단메이플 슬롯과 구분하여 부르기 위한 명칭이었다. 점차 그 의미가 무늬가 있는 단메이플 슬롯을 대표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었다. 양단의 소재와 직조 방법은 조선 말기, 개화기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대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다. 양단은 오늘날에는 수자직의 단메이플 슬롯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화 조직으로 직조한 무늬 있는 두꺼운 한복용 메이플 슬롯을 총칭하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목차
정의
수자직(朱子織) 바탕에 무늬가 직조되어 있는 비교적 두꺼운 한복용 단(緞)직물.
참고문헌

원전

『정조실록(正祖實錄)』
『ᄇᆞᆯ긔』

논문

신혜성·홍나영, 「해방이후 한복용 緞織物의 변천에 관한 연구」(『메이플 슬롯의류학회』 27-6, 2003)
이은진·조효숙·홍나영, 「메이플 슬롯 말기 단의 종류 및 특성에 관한 연구」(『복식』 57-3, 2007)
신혜성, 「개화기 이후 한국 단메이플 슬롯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이은진, 「해방 이후의 한복용 소재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신문·잡지

『메이플 슬롯휘보(朝鮮彙報)』(1915.3.1.)
주석
주1

옷감을 짜는 방법의 하나. 날실과 씨실을 서로 얽혀 짜지 않고 일정하게 몇 올을 떼어서 짜는 방법으로 표면이 매끄럽고 윤이 나며 주로 메이플 슬롯, 공단 따위의 비단 옷감을 짤 때 쓴다. 우리말샘

주2

무늬가 있는 비단.우리말샘

주3

일본 비단. 또는 일본식으로 짠 비단. 우리말샘

주4

천이나 그물을 짤 때, 가로 방향으로 놓인 실. 우리말샘

주5

인조 견사나 인조견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두 가지 이상의 실을 섞어서 짠 메이플 슬롯. 우리말샘

주7

셀룰로스 분자 속의 하이드록시기를 아세틸화한 아세트산 에스터. 섬유소에 아세트산 무수물, 진한 황산을 섞어서 만든다. 방사하여 아세테이트 섬유를 만들거나 불연성 필름, 플라스틱, 전기 절연체 따위를 만드는 데에 쓰인다. 우리말샘

주8

다가(多價) 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 중합으로 얻는 고분자 화합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내약품성, 내열성이 뛰어나서 가구ㆍ건재ㆍ합성 섬유 따위를 만드는 데에 쓰인다. 우리말샘

주9

은을 얇게 입힌 실. 또는 은으로 가늘게 만든 실. 우리말샘

주10

천이나 그물을 짤 때, 세로 방향으로 놓인 실. 우리말샘

관련 메이플 슬롯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메이플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메이플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메이플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메이플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