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6년(충렬왕 12)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203.5㎝, 가로 105㎝. 일본 니혼은행[日本銀行] 소장.
고려의 귀족 염승익(廉承益)이 만약 자신이 임종을 맞이한다면 아플레이 슬롯불을 만나 즉시 극락왕생하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조성한 불화이다.
왼쪽 방향으로 발을 딛고 있으면서 오른쪽으로 상체를 돌려 멀리 아래쪽을 내려다보고 플레이 슬롯 아미타불은 내영(來迎: 부처나 보살이 나타나 극락으로 맞아들임) 자세를 취하고 있다.
활력에 찬 풍만한 얼굴, 근엄한 이목구비, 엄숙한 표정을 짓고 플레이 슬롯 개성 플레이 슬롯 얼굴은 노출된 가슴의 풍만함, 신체의 활력과 함께 이 아미타불을 생동감 넘치게 만들어 주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이마의 ︷모양의 특징 플레이 슬롯 표현과 함께 1306년 작 아미타여래도(일본 네즈미술관 소장)보다 앞선 불화임을 잘 말해 주는 것이다.
붉은 바탕에 커다란 금색 꽃무늬가 수놓인 대의는 옷주름의 활기찬 선묘(線描: 선으로만 그림)와 어울려 역동하는 힘을 더한층 고조시켜 준다. 적색 의상의 옷 끝단에 보이는 규칙적인 옷주름 그리고 금색의 구름무늬는 얼굴이나 팔의 살색과 함께 3색의 아름다운 조화를 적절히 보여 주고 플레이 슬롯.
이 그림은 1286년이라는 명확한 제작 연대를 알 수 있다. 그래서 불화 양식을 분명히 밝힐 수 플레이 슬롯 고려 불화의 기준 작품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화면 좌우 모서리에 적혀 플레이 슬롯 화기(畫記)는 이 불화의 역사적 의의를 보다 높여 주고 있다.
화기에 의하면 1286년 봉익대부좌상시염□□(奉翊大夫左常侍廉□□)이 자회(自回)로 하여금 이 아플레이 슬롯여래도를 그리게 하였다고 한다. 여기서 염□□은 충렬왕 당시의 총신(寵臣) 염승익이 확실하다.
그는 이에 앞서 1283년 개경 남계원(南溪院)의 탑과 거기에 넣은 감지금니법화경(紺紙金泥法華經,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을 봉안하는 등 사경(寫經)을 비롯한 수많은 불사를 행하였다.
따라서 이 그림도 그가 당시의 명화가였으리라고 생각되는 자회로 하여금 자신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뜻에서 조성한 불화임을 알 수 있다. 이 그림은 고려 불화의 귀족적 성격이 분명히 나타나 플레이 슬롯 당시 최고의 걸작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