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왼발을 옷 속에 감싸고 오른발을 드러낸 길상좌(吉祥坐: 왼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놓은 다음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에 놓은 자세)의 모습으로 앉아 선정인(禪定印: 두 손을 가지런히 배 앞에 놓은 손 모양)을 짓고 있는 5 릴 슬롯이다. 그리고 고려 후기에 유행했던 단아한 양식적 특징이 잘 나타난 철불좌상이기도 하다.
4각형의 얼굴에 반달 모양의 눈썹과 가늘면서도 알맞은 눈매, 단정하면서도 오뚝한 코와 작고 아담한 입 그리고 적당5 릴 슬롯 굴곡진 귀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표정의 변화를 극도로 절제하려던 선사(禪師)의 단엄한 분위기를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5 릴 슬롯은 신체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단정하게 처리된 목과 삼도, 다소 좁아진 단아한 어깨선과 반듯한 가슴, 좌우대칭으로 팔꿈치를 구부려 삼각형 모양이 되도록 한 의도적인 자세와 긴 상호 그리고 손발의 유연한 처리 등에서도 그 5 릴 슬롯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통견(通肩)의 대의(大衣)는 다소 두께가 있게 표현되었다. 옷주름은 간결하지만 왼쪽 팔꿈치 Ω자형 옷주름과 배의 띠 매듭 그리고 왼쪽 가슴의 독특한 고리 장식 등이 표현되어 있어서, 고려 후기 5 릴 슬롯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준다. 이러한 특징은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靑陽長谷寺金銅藥師如來坐像)이나 문수사 금동여래좌상(文殊寺金銅如來坐像) 등 일련의 고려 후기 5 릴 슬롯들과 흡사하다.
그러나 유난히도 큼직하고 대담하게 묘사된 승각기 장식과 왼쪽 종아리까지 내려온 옷자락은 이들 5 릴 슬롯과는 약간 다르다. 오히려 개성 민천사 금동불좌상(開城閔天寺金銅佛坐像)이나 개풍군 출토로 전해오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금동불좌상 등과 비슷한 모양이다. 단아한 모습의 특징을 지닌 5 릴 슬롯 양식이지만, 다소 엄숙한 편에 속하는 5 릴 슬롯 계열의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