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파 온 슬롯 ()

목차
관련 정보
목조불감
목조불감
건축
개념
불교나 유교에서 불상이나 신주 등을 봉안하기 위하여 만든 종교건조물. 감실.
이칭
이칭
감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던파 온 슬롯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나 유교에서 불상이나 신주 등을 봉안하기 위하여 만든 종교건조물. 감실.
내용

원래 집던파 온 슬롯의 공간을 뜻하는 것으로, 건물보다는 작은 규모의 공간을 가리킨다. 감의 종류는 형태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눌 던파 온 슬롯다. 첫째 벽감(壁龕), 둘째 건축 형태의 감실(龕室), 셋째 공예적 감 등이다.

벽감은 벽면에 마련된 작은 공간으로 부조(浮彫)나 조각상, 또는 기타 등잔 같은 공예품을 안치하는 곳이다. 고구려 벽화고분의 벽면에 마련된 던파 온 슬롯이나 석굴암( 경주 석굴암 석굴) 주실의 던파 온 슬롯, 석탑의 던파 온 슬롯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석굴암에서는 던파 온 슬롯보살상을 봉안하였으며, 고분의 경우 등잔 같은 것을 놓아두었는데, 법주사 타래암석굴의 벽감도 등잔을 둔 예에 속한다.

벽감은 다시 형태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눌 던파 온 슬롯다. 첫째, 보주형(寶珠形)으로 무령왕릉 무덤의 벽감이 대표적인 예이다. 둘째, 무지개모양인데 석굴암의 던파 온 슬롯이 대표적인 것으로 주로 불상이나 신상(神像)이 안치되는 경우가 많다. 셋째, 상자형으로 대개 서양건축에 애용되고 있고 인도나 중국의 석굴에도 보편적이나 우리나라에는 거의 없다.

다음으로 던파 온 슬롯은 주로 건물형태의 감을 이르는 것으로, 이른바 전각형(殿閣形)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운주사의 석던파 온 슬롯(石龕室: 화순 운주사 석조 불감)은 외부공간에 있는 건물형의 대표적인 예이며, 지금은 없어진 장곡사 상대웅전의 천개감(天蓋龕)은 건물 내부에 안치된 던파 온 슬롯의 대표적인 예이다.

이 밖에도 돌아가신 분의 위패, 즉 신주를 모신 방을 말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신탑(神榻)과 독대(櫝臺 : 신주를 모신 나무그릇을 안치한 대) 등을 갖추고, 바닥에는 황화석(黃花席:누런 국화꽃 무늬를 놓은 돗자리)을 깔고 방 앞에 유막(帷幕)을 치는 것이 일반적던파 온 슬롯.

한편, 공예적 감은 신불(神佛)을 봉안하여 이동하기 쉽도록 만든 작은 감을 말한다. 형태에 따라 전각형 · 포탄형 · 상자형 등으로 나눌 던파 온 슬롯다. 불상을 봉안한 불감(佛龕)이나 사리를 봉안하는 사리기(舍利器) 등이 대표적인 예인데, 이러한 형태의 감은 건축이나 조각, 공예 등 미술의 여러 슬롯를 고찰할 던파 온 슬롯는 자료로서 주목된다.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던파 온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던파 온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