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403㎝, 가로 275㎝. 1688년(숙종 14)에 제작되었다. 팔상전의 후불탱화로 봉안되어 있는 이 플레이 텍 슬롯는 비교적 큰 편에 속하지만, 화면을 압도하는 중앙의 본존불과 비교적 굵직하게 묘사된 협시보살상들 때문에 협시들의 수가 줄어들었다. 즉, 4천왕·4보살·6제자·4분신불(分身佛)과 타방불(他方佛)·4구의 팔부중(八部衆)·이청문중(二聽聞衆) 등이 본존불 좌우에 2열 종대로 배치되어 비교적 단순한 구도를 보여준다.
화면의 중앙에서 상단부에 걸쳐 꽉 차게 묘사된 본존불은 건장플레이 텍 슬롯 풍만한 모습을 과시플레이 텍 슬롯 있는 원만상(圓滿相)으로, 조선 후기 불화로는 드물게 보이는 특징이다. 육계(肉髻)는 뾰족플레이 텍 슬롯 계주(髻珠)는 큼직한 것으로 청주 보살사 괘불(掛佛, 1649년)이나 화엄사 괘불(1653년)의 본존불과 흡사하다.
얼굴은 둥글고 풍만한 데다 눈·코·귀·입 등이 작고 부드러워 원만상을 이루고 있다. 우견편단(右肩偏袒)으로 벗은 상체 역시 둥근 곡선으로 처리되어 풍만함을 자랑플레이 텍 슬롯 있으며, 당당한 체구의 형태가 잘 묘사되어 있다.
본존불의 풍만한 형태는 보살이나 기타 협시상들에서도 그대로 표현되어 전체 불보살들이 환플레이 텍 슬롯 원만한 모습을 보여준다.
색채는 이러한 형태에 알맞게 밝으면서도 부드러운 중간 색조를 사용하였으며, 본존의 옷깃이나 옷무늬 등 역시 17세기 중엽경의 특징을 고스란히 갖추고 있어서 17세기 후반기의 플레이 텍 슬롯임을 한 눈에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