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 슬롯 선암사 화엄경변상도 ( )

목차
관련 정보
순천 선암사 화엄경변상도
순천 선암사 화엄경변상도
회화
작품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변상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88 슬롯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변상도.
내용

1780년(정조 4) 작. 비단바탕에 채색. 세로 279㎝, 가로 248㎝. 화엄경88 슬롯도는 7군데서 9번 법회를 열어 ≪화엄경≫을 설법한 것을 한 폭에 그린 그림이다.

구도는 제일 아래 큰 연못이 있고 이 위에 글자로 찰종(刹鍾 : 世界鍾)이 쓰여 있는데, 이 윗부분에 988 슬롯이 배치된다. 즉, 아래쪽에는 지상에서의 설법88 슬롯인 1·2·7·8·9회(會)의 그림이 나란히 배치되고, 그 위에 3·5회와 다시 그 위에 4·6회의 그림이 배치되었다.

또, 화폭의 가장 아래에는 선재동자(善財童子 : 求道의 보살 이름)가 53선지식(五十三善知識)을 찾는 장면을 그리고 있다. 이 화엄경변상도 역시 그러한 기본구도하에서 그려졌는데, 송광사의 화엄경변상도(1770)와 화폭도 거의 비슷하고 구도나 형태 등도 동일하여 같은 유파의 화사들이 만든 것임을 알 88 슬롯다.

상단부에 하늘에서의 네개의 설법장면, 하단부에 지상에서의 다섯개의 설법장면을 각 2열씩으로 배치하고 그 사이에 구름과 분신불(分身佛)을 묘사한 복잡한 구도이지만 정연한 질서와 공간감을 느낄 88 슬롯는 수작이라 하겠다.

색채 역시 송광사화엄경88 슬롯도와 비슷하게 청색이 남용된다든가 홍색·녹색이 주조를 이루는 점 등은 같지만 붉은색이 좀 탁해져 화면이 전반적으로 송광사의 화엄경88 슬롯도만큼 밝지 못한 느낌은 있다. 송광사화엄경88 슬롯도와 더불어 18세기 후반기를 장식하는 보기 드문 화엄경88 슬롯도로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88 슬롯의 불화』(문명대, 열화당, 1977)
『88 슬롯의 미 16-조선불화-』(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88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88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