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자경(子慶), 호는 용계(龍溪). 서응기(徐應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서함(徐涵)이고, 아버지는 서사건(徐思建)이다.
1630년(인조 8) 사마시에 합격다복 다재 슬롯 1633년(인조 11)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서학교수가 되었다. 그 뒤 청나라에 대한 척화(斥和)를 주장하여 경성통판(京城通判)에 승진하였다. 1652년(효종 3) 예조정랑으로 있으면서, 귀인(貴人) 조씨(趙氏)의 옥사에 관계되어 유배된 그녀의 아들 이징(李澂)과 이숙(李潚)을 용서다복 다재 슬롯 소현세자(昭顯世子)의 아들을 유배에서 풀 것을 주장하였다.
1656년 천안군수로 재직하던 중, 승지 유도삼(柳道三)이 왕의 동생 인평대군(麟坪大君)에게 실수로 신하라고 자칭하였던 다복 다재 슬롯을 빌미로 인평대군의 처남 오정일(吳挺一)을 비롯하여 허적(許積)·원두표(元斗杓)·한전(韓戩)·윤세교(尹世喬) 등이 모역한다고 고발하였으나, 다복 다재 슬롯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고 심문을 받던 중 장살(杖殺)되었다. 뒤에 신원(伸寃: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줌)되어 예조참의를 추증받고, 대구의 옥계서원(玉溪書院)에 향사되었다. 저서로는 『용계집(龍溪集)』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