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례분휘』는 「삼례분휘목록(三禮分彙目錄)」을 시작으로 천도부(天道部) 23슬롯 체험, 지도부(地道部) 10슬롯 체험, 인륜부(人倫部) 10슬롯 체험, 군도부(君道部) 7슬롯 체험, 치화부(治化部) 18슬롯 체험, 신도부(臣道部) 14슬롯 체험, 민업부(民業部) 13슬롯 체험, 유도부(儒道部) 10슬롯 체험, 인사부(人事部) 6슬롯 체험, 생사부(生死部) 13슬롯 체험, 제사부(祭祀部) 6슬롯 체험, 연악부(燕樂部) 6슬롯 체험, 거처부(居處部) 5슬롯 체험, 재화부(財貨部) 9슬롯 체험, 백용부(百用部) 10슬롯 체험, 복식부(服飾部) 10슬롯 체험, 기예부(技藝部) 6슬롯 체험, 군려부(軍旅部) 8슬롯 체험, 생물부(生物部) 8슬롯 체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형식은 천도부의 경우, 상단에 천도부 항목 ‘天’을 적시하고, 그 아래에 『주례』, 『예기』, 『의례』를 각각 네모 칸 안에 ‘周, 禮, 記’를 집어넣어 표지로 삼고, 또 「禮運」이나 「樂記」 등의 인용문도 네모 칸 안에 ‘運’이나 ‘樂’을 집어넣어 표지로 삼고 해당 인용문을 적시하고 있다.
천도부는 천(天), 일(日), 월(月), 성신(星辰) 등의 23슬롯 체험, 지도부는 지(地), 산악(山嶽), 강해(江海), 천택(川澤) 등의 10슬롯 체험, 인륜부는 부모(父母), 형제(兄弟), 효제(孝悌), 처첩(妻妾) 등의 10슬롯 체험, 군도부는 주8, 주9, 주7, 주6 등의 10슬롯 체험, 치화부는 주2, 주3, 주4, 주5 등의 18슬롯 체험이 있다. 또한 신도부는 공경(公卿), 주10, 노성(老成),주11 등의 14슬롯 체험, 민업부는 농(農), 전제(田制), 곡(穀), 채(菜) 등의 13슬롯 체험, 유도부는 사제(師弟), 유교(儒敎), 주12, 심성(心性) 등의 10슬롯 체험, 인사부는 형체(形體), 언어(言語), 위의(威儀), 주13 등의 6슬롯 체험, 생사부는 생신(生娠), 성명(姓名), 유충(幼沖), 주14 등의 13슬롯 체험을 말한다. 제사부는 종묘(宗廟), 교사(郊社), 인사(禋祀), 제물 등의 6슬롯 체험, 연악부는 향빈(饗賓), 연음(燕飮), 주(酒), 음식(飮食) 등의 6슬롯 체험, 거처부는 궁실(宮室), 문계(門啓), 계정(階庭), 정려(井閭) 등의 5슬롯 체험, 재화부는 부고(府庫), 공납(貢納), 부세(賦稅), 금은(金銀) 등의 9슬롯 체험, 백용부는 주15, 주16, 주17, 주18 등의 10슬롯 체험이 해당된다. 더불어 복식부는 주19, 규홀(圭笏), 의복(衣服), 관(冠) 등의 10슬롯 체험, 기예부는 사(射), 투호(投壺), 의약(醫藥), 주20 등의 6슬롯 체험, 군려부는 장수(將帥), 주21, 병기(兵器),주22 등의 8슬롯 체험, 생물부는 수목(樹木), 초화(草花), 과당(果棠), 우충(羽虫) 등의 8슬롯 체험을 의미한다.
『삼례분휘』는 『주례』, 『의례』, 『예기』를 지칭하는 삼례(三禮)에서 중요 문구를 뽑아서 분류별로 모았기 때문에 ‘분휘’ 혹은 ‘휘찬’이라는 제목을 달았다는 점에서 일종의 유학에 관한 책의 성격을 지닌다. 내용 기술은 분류별로 원전의 구절에 주1를 붙이는 방식으로 되어 있고, 초록된 구절은 주로 격언 같은 것을 모았는데, 교훈을 주기 위해 엮은 듯하다. 구성 형식이 『지봉유설(芝峯類說)』, 『성호사설(星湖僿說)』 등과 같은 것으로 볼 때, 그 영향을 받은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