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십구재는 불교에서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매 7일 째마다 7회에 걸쳐서 49일 동안 개최하는 의례이다. ‘칠칠일, 칠칠재, 천도댄 슬롯’이라고도 한다.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다음 생을 받을 때까지 49일이 걸린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 기간 동안 7일마다 불경을 읽고 부처님께 공양하는 댄 슬롯을 행한다. 즉, 죽은 자로 하여금 좋은 생을 받기를 바라는 뜻에서 49일 동안 이 재를 지내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천도 댄 슬롯은 신라 때부터 있었으나, 칠칠재 양식은 조선 시대부터 성행했다고 한다. 사십구재는 상주권공재, 영산재, 대례왕공이라는 세가지 형식이 있다.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비는 천도(薦度:죽은 영혼이 좋은 곳에 태어나도록 기도함)댄 슬롯이다. ‘칠칠일(七七日) · 칠칠재(七七齋)’라고도 한다. 사람이 죽으면 다음 생을 받을 때까지 49일 동안 중음(中陰:죽은 후 다음 생을 받기까지의 기간)의 상태를 맞게 되는데, 이 기간 동안 다음 생을 받을 연(緣)이 정하여진다고 하여 7일마다 불경을 읽고 부처님께 공양하는 댄 슬롯을 말한다. 즉 죽은 자로 하여금 좋은 생을 받기를 바라는 뜻에서 49일 동안 이 재를 지내는 것이다.
불교의 내세관에는 극히 착하거나 극히 악한 업(業)을 지은 사람의 경우, 죽으면 곧 다음 생을 받기 때문에 중음이 없으나 보통사람은 이 중음에 있을 동안 다음 생의 과보(果報)가 정하여진다고 한다. 우리나라에 이러한 천도댄 슬롯이 언제부터 있어왔는가는 분명하지 않다.
속설에는문수보살을 친견하기 위하여정암사(淨巖寺)에 머물렀던자장(慈藏)이 일시의 교만으로 거지로 변신하고 온 문수보살을 만나지 않았는데, 뒤늦게 문수임을 깨달은 자장이 뒤를 쫓아갔으나 육신으로는 어쩔 수 없었다 한다. 자장은 육신을 버리고 문수의 뒤를 따라 하늘로 가서 보살을 만났지만 돌아와 보니 육신은 이미 화장한 뒤였으며, 이때부터 댄 슬롯가 개최되었다는 설도 있다.
또 당나라에 있었던신라의 사원주1에서 행한 댄 슬롯에 의하면 유나(維那:댄 슬롯이나 참선을 행할 때의 우두머리)가 무상의 도리와 망자(亡者)의 공능(功能), 그리고 죽은 날 등을 설회(設會)시에 밝히고 있는데, 이를 통하여 이 댄 슬롯이 영가천도댄 슬롯(靈駕薦度儀式)을 위한 법회임을 알 수 있고, 천도댄 슬롯이 신라 때부터 있어 왔던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때의 천도댄 슬롯이 오늘날에 전하는 사십구재의 형식으로 행하여졌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고려시대에도 영혼천도댄 슬롯이 성행하였으나 당시의 의문(儀文)을 찾아볼 수 없다. 이능화(李能和)의『조선댄 슬롯통사(朝鮮佛敎通史)』는 칠칠재 양식의 천도댄 슬롯이 조선 초기부터 있어 왔음을 전하여 주고 있고, 보다 분명한 사실은 조선 중기에 편찬된 제반 댄 슬롯문에 사십구재의 의문이 있으므로 조선시대부터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들 댄 슬롯문에 의하여 사십구재의 댄 슬롯절차 및 양식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①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는 불보살단(佛菩薩壇)인 상단권공(上壇勸供)이 위주가 되고, 이어서 영가의 제사인 관음시식(觀音施食)을 행하는 재댄 슬롯이다. ② 영산재(靈山齋)는 상주권공을 확대한 것으로서 석가모니불의 법회도량인 주2을 재현하여 상징화한 것이다. 상단권공이 중심이라는 점에서는 상주권공재와 다를 바 없으며 뒤이어 관음시식이 있음도 같으나 이 영산재의 마지막에 식당작법(食堂作法)이 첨가되는 점이 다르다.
③ 각배재(各拜齋)는 대례왕공(大禮王供)이라고도 한다. 이 댄 슬롯은 상주권공재의 댄 슬롯절차 및 그 신앙적 구조 위에 명부시왕신앙(冥府十王信仰)을 삽입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즉 상단권공 이외에 명부시왕단을 설하여 시왕에 대한 권공의례를 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사십구재를 비교하여 보면 상주권공재가 기본적인 불보살에 대한 권공의례를 중심으로 재를 행하는 것이라면, 영산재는 여러 불교신앙 중에서 법화신앙(法華信仰)이 강조되어 댄 슬롯도량을 『법화경』의 설법모임인 영산회상의 법회를 상징화하여 영가를 천도하고 있다는 데서 그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각배재는 명부시왕신앙을 수용한 것이 다르다. 이들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고 장엄하며 댄 슬롯적 의미가 풍부한 것이 영산재이다.
이들 세 가지 유형의 댄 슬롯절차를 칠칠재 즉 매 7일마다 행하는 것이 아니라 6 · 7일까지는 일반적인 간단한 권공댄 슬롯으로 행하다가 마지막 재인 7 · 7일에 가서는 망자 가족의 희망에 따라 세 유형 가운데 하나를 택하게 된다. 이 가운데 가장 간소한 절차가 상주권공재이다. 상주권공재와 영산재가 불교의 기본신앙을 바탕으로 하였다고는 하나 시식 · 봉청(奉請) · 봉송의례(奉送儀禮) · 시련의례(侍輦儀禮) 등은 역시 민간신앙적 요소라 할 수 있다. 즉 사십구재의 전반적인 구성절차는 각종의 민간신앙적 요소를 수용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신앙구조에서 보면 불교신앙의례의 성격을 잃지 않고 있다.
그 절차를 살펴보면 처음의 주5·주3·주4은 불보살과 신중 · 영혼 등을 영접하고 불연을 맺게끔 하고 자기정화와 도량의 정화를 기하는 의례이다. 이는 상단권공의 제1단계라 할 수 있는 갈향(喝香)에서 참회까지의 공양정례(供養頂禮) · 도량정화 · 자기정화 · 참회와 같은 성격의 댄 슬롯이다. 그리고 상단권공의 정재게(頂載偈) · 주6에서 준제공덕취(準提功德聚)까지는 대자댄 슬롯(對自儀禮)이다.
그 뒤 설회의 취지를 아뢰고 댄 슬롯를 행하게 된 그 공덕을 설재자(設齋者)가 영가에게 회향(回向)하고 발원함으로써 대타댄 슬롯화(對他儀禮化)한다. 여기서 다시 영가에게 회향한다는 의미가 더욱 강조되고 조상숭배신앙과의 습합에서 영단(靈壇)을 설하여 영가에게 법회를 베푸는 시식댄 슬롯를 행한다.
이와 같은 기연은 댄 슬롯가 민간신앙 또는 수용자측의 요구에 응하여 가는 과정에서 변형된 것이다. 각배재에 있어 시왕권공과 전시식(奠施食)은 그 좋은 예의 하나이다. 그리고 다음 단계로 봉송의례가 행하여진다. 즉 대승댄 슬롯로서의 서원으로 두루 회향을 하고 불보살의 주7으로 재회를 엄수하게 된 보은의 정례를 한 다음 송불(送佛)댄 슬롯 끝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