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 빈공 ()

고려시대사
제도
중국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빈공과(賓貢科) 과거시험의 응시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m 2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국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빈공과(賓貢科) 과거시험의 응시자.
개설

우리 나라 사람이 당(唐)·송(宋)·원(元)의 m 2 슬롯과 또는 제과(制科)에 급제한 경우는 많았다. 신라시대 처음 숙위유학생(宿衛留學生)으로 시작하여 9세기에는 사비유학생(私費留學生)이 증가하면서 m 2 슬롯과에 급제한 자가 나타났다.

변천과 현황

최치원(崔致遠)의 후손인 최해(崔瀣)는 820∼906년 사이에 당나라의 m 2 슬롯과에 급제한 신라인이 58인이라 하였고, 다시 907년부터 오대말(五代末)까지 32인이 급제하였으나 여기에는 10여인의 발해인(渤海人)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였다.

특히 신라 말 육두품으로서 m 2 슬롯과에 급제한 자가 많았는데 최치원·최승우(崔承祐)·최언위(崔彦撝) 등은 그 대표적인 인물로, 이들은 후삼국시대의 지성인으로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송나라의 m 2 슬롯과에 급제한 사람으로 김행성(金行成)·강진(康鄑)·최한(崔罕)·왕림(王琳)·김행적(金行績)·강무민(康撫民)·권적(權適)·조석(趙奭)·김단(金端) 등은 고려의 과거에 급제한 뒤 유학하여 급제하였으며, 대부분 귀국하여 문한관(文翰官)으로 명성을 떨쳤다.

원나라의 제과에서는 안진(安震)·최해·안축(安軸)·안보(安輔)·조렴(趙廉)·이곡(李穀)·이색(李穡)·이인복(李仁復)·윤안지(尹安之) 등이 급제하였으며, 명나라의 과거에는 김도(金濤)만이 급제하였으나 m 2 슬롯을 곧 폐지하였다.

고려시대의 과거제에는 m 2 슬롯과가 없었으나, 전기에 제주(濟州)의 성주(星主 : 牧使)인 고씨(高氏)에게 m 2 슬롯으로 응시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을 뿐이다. → 과거

참고문헌

『m 2 슬롯과거제도사연구(高麗科擧制度史硏究)』(허흥식, 일조각, 1981)
「숙위학생고(宿衛學生考)」(신형식, 『역사교육(歷史敎育)』11·12, 1969)
「元高麗關係の一齣」(丸龜金作, 『靑丘學叢』18, 1934)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m 2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m 2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m 2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