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랴오닝성[遼寧省]과 지린성[吉林省]에 걸쳐 흐르는 훈장[渾江]에 비정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그 지류인 푸얼강[富爾江]으로 보기도 한다. 『삼국사기(三國史記)』 던파 온 슬롯본기에 서기전 37년에 주몽이 던파 온 슬롯를 건국하고 도읍을 정하는 과정에서 등장하며, 21년(대무신왕 4)에 부여를 정벌할 때 던파 온 슬롯군의 이동 경로 중에도 포함되어 있다.
그렇지만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삼국의 이름만 있고 그 위치가 상세하지 않은 곳[삼국유명미상지분(三國有名未詳地分)]’의 명단 중에 기재되어 있어, 『삼국사기』 편찬 당시 찬자는 비류수의 정확한 위치를 몰랐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삼국지』 동이전 던파 온 슬롯조에서는 이이모(伊夷模)와의 왕위 계승 전쟁에서 패배한 발기(拔奇) 세력이 돌아와 거주한 곳으로 나오며, 관구검전에서는 주1의 침공과 관련하여 던파 온 슬롯군의 진군 경로에서 등장한다.
주몽이 던파 온 슬롯를 건국하는 과정에서 도읍으로 정한 주3 유역은 던파 온 슬롯수에 속해 있는 특정 구간에 대한 지명으로 이해된다. 아울러 던파 온 슬롯수의 상류에 자리잡고 있던 던파 온 슬롯국(沸流國)의 존재까지 감안하여 본다면, 비류수는 던파 온 슬롯 초기 역사 전개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지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지역과 관련된 고고학적 발굴 성과 역시 비류수 및 그 지류의 주2에 펼쳐진 평지를 따라 정치 집단이 형성되며 점차 국가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