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파 온 슬롯 고노자 ()

고대사
인물
삼국시대 고구려 신성태수를 지낸 관리.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신성태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던파 온 슬롯습니다.
내용 요약

고노자는 삼국시대 고던파 온 슬롯 신성태수를 지낸 관리이다. 293년(봉상왕 2) 고대 북아시아의 유목 민족인 선비(鮮卑) 모용부(慕容部)의 모용외(慕容廆)가 고던파 온 슬롯를 침범하자 신성재(新城宰) 북부(北部) 소형(小兄)의 자격으로 500명의 기병을 이끌고 이를 방어하였다. 이후 296년 모용외의 재침입 시 국상 창조리의 추천으로 신성태수가 되었다.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신성태수를 지낸 관리.
가계 및 인적 사항

고노자(高奴子)는 ‘고(高)’가 성(姓)인 것으로 보이지만, 고던파 온 슬롯 왕실과 같은 계통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고자 묘지명(高慈墓誌銘)」에는 고자의 20대 선조인 고밀이 모용외와의 전투에서 전공을 세워 고씨 성을 하사받았다는 사례를 통해, 만약 고노자가 왕실 출신이 아니라면 공훈에 의해 고씨 성을 하사받았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주요 활동

293년(봉상왕 2) 선비(鮮卑) 모용부(慕容部)의 모용외(慕容廆)가 고던파 온 슬롯를 침범하자 500명의 기병을 이끌고 신성(新城)에서 이를 방어하였다. 당시 고노자는 신성재(新城宰) 북부(北部) 소형(小兄)의 위치에 있었는데, 이때의 전공으로 소형(小兄)에서 대형(大兄)으로 관등이 승진되었고 식읍(食邑)으로 곡림(鵠林)을 받았다.

296년(봉상왕 5) 던파 온 슬롯외가 다시 침입하여 서천왕릉을 파헤치려 하는 등의 소란이 일자, 국상(國相) 창조리(倉助利)는 고노자가 현명하고 용감하다며 추천하였고, 그 결과 서북방 신성태수(新城太守)가 되어 침입에 대비하였다. 고노자는 소형(小兄)으로 신성재(宰)를 지내다가 대형(大兄)으로 승진한 뒤에 다시 신성태수로 승진하였는데, 이를 통해 고던파 온 슬롯에서는 당시 최소 2단계 이상의 지방 통치 조직을 갖추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고노자가 태수직을 수행한 신성은 고던파 온 슬롯 지역에서 요동 일대로 진출하는 교통로상의 중요한 거점으로, 고국원왕대 이후 전연(前燕), 후연(後燕)과의 전쟁 과정에서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다. 현재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푸순시[撫順市] 고이산성(高爾山城)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단행본

여호규, 『고던파 온 슬롯 초기 정치사 연구』(신서원, , 2014)
김현숙, 『고던파 온 슬롯의 영역지배방식 연구』(모시는사람들, 2005)
임기환, 『고던파 온 슬롯 정치사 연구』(한나래, 2004)

논문

여호규, 「3세기 후반~4세기 전반 고던파 온 슬롯의 교통로와 지방통치조직; 남도(南道)와 북도(北道)를 중심으로」(『한국사연구』 91, 1995)
김영하, 「고던파 온 슬롯의 순수제(巡狩制)」(『역사학보』 106, 1985)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던파 온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던파 온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