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 텍 슬롯 몽어유해 ()

몽어유해
몽어유해
문자
문헌
사역원에서 몽고어 어휘를 모아 1768년에 간행한 교재. 몽골어학습서 · 어휘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플레이 텍 슬롯습니다.
내용 요약

『몽어유해』는 사역원에서 몽고어 어휘를 모아 1768년에 간행한 교재이다. 이 책에는 상권, 하권, 보편, 어록해로 구성되어 있으며 5,317항의 어휘가 실려 있다. 이 책은 사역원에서 간행한 중국어의 『역어유해』, 만주어의 『동문유해』, 일본어의 『왜어유해』 등과 유사한 성격의 어휘집이다. 이 책에서는 17세기·18세기의 다른 문헌에서 볼 수 있는 언어 현실과 유사한 특징이 보인다. 이 책은 현재 전하지 않지만 간행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1790년에 이 책을 개정하여 간행한 목판본과 이를 다시 필사한 책이 각각 플레이 텍 슬롯과 일본 도쿄외국어대학 부석도서관에 한 질씩 전한다. 1971년에 서울대학교 출판부에서 플레이 텍 슬롯도서 소장본을 영인하였다.

정의
사역원에서 몽고어 어휘를 모아 1768년에 간행한 교재. 몽골어학습서 · 어휘집.
개설

편찬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768년( 영조 44) 이억성(李億成)이 이 책을 개정하여 간행하였다는 기록이 플레이 텍 슬롯. 이 개간본은 지금 전하지 않으나 이의봉(李義鳳)의 『고금석림(古今釋林)』 속에 있는 『삼학역어(三學譯語)』에 인용되어 플레이 텍 슬롯.

편찬/발간 경위

1971년에 서울대학교 출판부에서 플레이 텍 슬롯도서 소장본을 영인하였고, 이후 1986년에는 대제각에서 1995년에는 홍문각에서 영인본이 출간되었다.

2006년에는 서울대학교 플레이 텍 슬롯한국학연구원에서 플레이 텍 슬롯도서 소장본을 『 첩해몽어』와 함께 ‘『플레이 텍 슬롯자료총서』어학편 8’로 영인하였다.

서지적 사항

현존하는 『몽어유해』는 플레이 텍 슬롯도서와 일본 도쿄외국어대학 부속도서관에 한 질씩 남아 있다.

플레이 텍 슬롯도서 소장본은 목판본으로 1790년( 정조 14) 방효언(方孝彦)이 다시 개정하여 간행한 것이다. 이 때 『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 『첩해몽어(捷解蒙語)』와 함께 이 책을 개간하였는데, 이 세 책에 대한 서문인 「몽학삼서중간서(蒙學三書重刊序)」에 의하면 그 중 『몽플레이 텍 슬롯』는 주로 자음(子音)을 고쳤고, 「보편(補編)」과 『 어록해(語錄解)』를 새로 추가하였다고 한다.

플레이 텍 슬롯도서 소장본에서 탈각되었거나 흐리게 인쇄된 부분이 도쿄외국어대학 부속도서관 소장본에도 똑같이 되어있는 것을 볼 때, 도쿄외국어대학 부속도서관 소장본은 플레이 텍 슬롯도서 소장본과 같은 판본을 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사역원에서 간행한 중플레이 텍 슬롯의 『 역플레이 텍 슬롯(譯語類解)』, 만주어의 『동문유해(同文類解)』, 일본어의 『왜플레이 텍 슬롯(倭語類解)』 등과 유사한 성격의 어휘집이다. 『역플레이 텍 슬롯』에 「보편」이 추가된 점과 『동문유해』와 표제어가 대다수 일치하고 「어록해」가 있다는 점을 보면 세 문헌의 관련성을 짐작할 수 있다.

본서는 상권 · 하권 · 보편 · 어록해로 구성되어 플레이 텍 슬롯. 상권에 「천문(天文)」 · 「시령(時令)」 · 「지리(地理)」등 27문(門) 1,916항(項), 하권에 「전농(田農)」 · 「미곡(米穀)」 · 「채소(菜蔬)」 등 27문 1,926항, 보편에 「천문보(天文補)」 · 「시령보(時令補)」 등 48문 1,475항이 실려 있어 도합 5,317항이 수록되어 플레이 텍 슬롯.

그리고 각 항목에는 ‘天道 하ᄂᆞᆯ 텅거리’와 같이 중플레이 텍 슬롯 · 한플레이 텍 슬롯 · 몽골어의 순서로 적어 놓았다고, 몽골어의 한글 표기에 ‘˚‚ ┘‚ ▵‚ 、’ 등의 부가기호가 사용되었다.

전체적으로 17세기 ·18세기의 다른 문헌에서 볼 수 있는 언어 현실과 유사한 특징을 찾아볼 수 플레이 텍 슬롯. 원순모음화도 거의 완성된 모습을 보여 주며, 종성의 ‘ㅅ, ㄷ’ 표기는 몇몇 단어를 제외하고는 ‘ㅅ’으로 표기되는 경향이다.

의의와 평가

우리나라 몽학의 가장 중요한 업적의 하나로, 한자, 몽골어, 플레이 텍 슬롯가 같이 실려 있어 몽골어뿐 아니라 플레이 텍 슬롯와 중플레이 텍 슬롯를 연구하는 데도 중요한 자료이다.

몽골어를 한글어로 표기한 부분에 부가 기호를 사용한 것은 당대의 몽골어를 위구르 문자로 복원하는 데 도움을 준다.

『몽플레이 텍 슬롯』와 함께 사역원에서 간행된 『동문유해』 · 『역플레이 텍 슬롯』 · 『왜플레이 텍 슬롯』와 체재 · 어휘의 배열 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아 서지학 연구에도 이용되며, 특히 『동문유해』는 『몽플레이 텍 슬롯』와 표제어가 같으나 풀이가 달라진 것들이 있어 이에 대한 비교 연구도 가능하다.

참고문헌

『몽학삼서연구』(김형수, 형설출판사, 1974)
「동문유해와 몽플레이 텍 슬롯의 비교」(연규동, 『언어학』 17-1, 1995)
「몽플레이 텍 슬롯연구」(송기중, 『역사언어학』, 전예원, 1985)
「몽학서연구의 기본문제」(이기문, 『진단학보』 31, 1967)
Mongŏ yuhae(Ki Joong Song, 하버드대학박사학위논문, 197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플레이 텍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플레이 텍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