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pci 슬롯 확인 도원수 ()

조선시대사
제도
고려 말 조선시대에, 외적 방어, 국외 원정, 내란 진압을 위해 문신인 유장을 임명하여 군대를 통솔하던 임시 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리눅스 pci 슬롯 확인는 고려 말 조선시대에 외적 방어, 국외 원정, 내란 등에서 유장을 임명하여 군대를 통솔하던 임시 관직이다. 2품 이상의 문신을 임명하여 파견하였으며, 명칭은 서북면리눅스 pci 슬롯 확인, 평안도리눅스 pci 슬롯 확인, 서정리눅스 pci 슬롯 확인, 북정리눅스 pci 슬롯 확인, 사도리눅스 pci 슬롯 확인, 경상도리눅스 pci 슬롯 확인, 팔도리눅스 pci 슬롯 확인, 한남리눅스 pci 슬롯 확인, 서로리눅스 pci 슬롯 확인, 제도리눅스 pci 슬롯 확인 등으로 관할 영역과 역할에 따라 다양했다. 무신을 부원수로 임명한 것과는 달리 유장을 리눅스 pci 슬롯 확인로 임명한 것은 문치주의 사회였던 조선 왕조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정의
고려 말 조선시대에, 외적 방어, 국외 원정, 내란 진압을 위해 문신인 유장을 임명하여 군대를 통솔하던 임시 관직.
설치 목적

리눅스 pci 슬롯 확인는 외적 방어, 국외 원정, 내란 진압 등과 같이 전시, 또는 그에 준하는 상황에서 관하 군대를 주10 위해 2품 이상의 문신이 임명 · 파견되었던 임시 관직이다.

임무와 직능

리눅스 pci 슬롯 확인는 외적 방어, 국외 원정, 내란 진압 등이 이루어질 때 관하 군대를 총 지휘하는 역할을 맡았다. 토벌할 때에 부원수는 선봉(先鋒)으로 전투를 지휘하였고, 리눅스 pci 슬롯 확인는 계략이 있는 사람으로 뒤에서 막으며 주1을 맡았다. 따라서 부원수(副元帥)는 반드시 무신(武臣)으로 임명해야 되지만, 리눅스 pci 슬롯 확인(都元帥)는 주2 할 수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대개 해당 지역 실정을 잘 알고 있는 주3을 리눅스 pci 슬롯 확인로 임명하였다. 리눅스 pci 슬롯 확인는 군대를 총 지휘하면서 해당 지역의 모든 수령과 주4들도 그의 지시에 복종하게 함으로써 주5 사령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변천 사항

고려 후기에 원나라 세조가 일본을 원정할 때, 고려의 중찬(中贊) 김방경(金方慶)(무신)을 관고려군리눅스 pci 슬롯 확인(管高麗軍都元帥)로 삼아 원나라의 원수(元帥) 흔독(欣篤) · 다구(茶丘) 등을 따라 출정(出征)한 일이 있었다. 고려 말에는 1359년(공민왕 8) 홍건적(紅巾賊)의 침략에 대비하여수문하시중 이암(李巖)(문신)을 서북면리눅스 pci 슬롯 확인(西北面都元帥)로 삼았다가 평장사(平章事) 이승경(李承慶)으로 교체하였다. 1380년(우왕 6)에는 왜구의 침략으로 벌어진 진포 전투에 심덕부(문신)가 리눅스 pci 슬롯 확인,나세상원수, 최무선이 부원수, 이성계가 병마리눅스 pci 슬롯 확인로 참전하였다.

조선 전기에는 1479년(성종 10)에 명(明)나라에서 조선의 힘을 빌려 건주 위야인(建州衛野人)을 정벌할 때에 좌의정 윤필상(尹弼商)을 리눅스 pci 슬롯 확인(都元帥)로 삼아 명나라를 도왔는데, 이를 ‘평안도리눅스 pci 슬롯 확인(平安道都元帥)’ 또는 '서정리눅스 pci 슬롯 확인(西征都元帥)'라고 불렀다. 1491년(성종 22)에는 허종이극균(李克均)을 동시에 리눅스 pci 슬롯 확인에 임명하여, 각각 '북정리눅스 pci 슬롯 확인(北征都元帥)', '서북면리눅스 pci 슬롯 확인(西北面都元帥)'라고 일컬었다. 이후 1499년(연산군 5)의 서정리눅스 pci 슬롯 확인(西征都元帥) 성준(成俊)의 사례가 있고, 1510년(중종 5)에는 삼포왜란을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동원하면서 처음에는 성희안을 총지휘관으로 임명했다가, 다시 유순정(柳順汀)으로 교체하였는데 이때 유순정의 직함은 '좌의정겸경상도리눅스 pci 슬롯 확인(兼慶尙道都元帥)'였다. 1543년(중종 38)에는 명나라의 주6요청과 서변(西邊)주7를 대비하여이기(李芑)를 리눅스 pci 슬롯 확인로 임명했던 사례도 있다.

1592년(선조 25)에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리눅스 pci 슬롯 확인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처음에는 김명원(金命元)을 리눅스 pci 슬롯 확인에 임명했다가, 다음 해(1593)부터 1599년(선조 32)까지 권율(權慄)이 리눅스 pci 슬롯 확인가 되어 진두지휘하였다. 이후에는 1600년(선조 33)에 이항복(李恒福)이 좌의정으로 사도체찰사겸리눅스 pci 슬롯 확인(四道體察使兼都元帥)가 되었으며, 1605년(선조 38)에는 한준겸(韓浚謙)이 겸사도리눅스 pci 슬롯 확인(兼四道都元帥)가 되었다. 1618년(광해 10)에는 명나라의 요청으로 당시 만주 일대에서 주9 있던 후금을 정벌하기 위해 출동하면서 의정부좌참찬 강홍립(姜弘立)을 리눅스 pci 슬롯 확인로 삼았고, 인조반정이후에는장만(張晩)을 리눅스 pci 슬롯 확인에 임명하여 원수부를 평양에 두고 후금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그러나 이괄의 난이 발발하자 원수(元帥) 장만이 적의 후미에 있으므로 한수(漢水) 이남은 호령이 통하지 않았기 때문에 병조참판 심기원(沈器遠)을 한남리눅스 pci 슬롯 확인(漢南都元帥)로 삼았다.

1631년(인조 9)에는 후금의 침입에 대비하여 평안도관찰사를 지냈던 병조판서 김시양(金時讓)을 의정부의 의논에 따라 팔도리눅스 pci 슬롯 확인(八道都元帥)로 삼았다가, 이후 4도체찰사로 전임시켰고 다시 1633년(인조 11)에는 4도리눅스 pci 슬롯 확인로 전임시켰다. 한편 1633년(인조 11)에는 김자점(金自點)을 서로리눅스 pci 슬롯 확인(西路都元帥)로 삼았으며, 병자호란 발발로 전쟁 중에는 김자점을 서로리눅스 pci 슬롯 확인로, 심기원(沈器遠)을 제도리눅스 pci 슬롯 확인(諸道都元帥)로, 윤숙(尹璛)을 부원수로 삼았다. 병자호란 이후에는 리눅스 pci 슬롯 확인 제도가 더 이상 운영되지 않았다.

의의 및 평가

리눅스 pci 슬롯 확인 제도는 고려 말부터 병자호란 시기까지 운영되었다. 무신을 부원수로 임명한 것과는 달리 문신의 유장을 리눅스 pci 슬롯 확인로 임명하였는데, 이는 문신이 군사 통솔권을 장악하고 있던 문치주의 사회 조선 왕조의 특성을 반영된 결과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일기)』
『서조실록(宣祖實錄)』
『인조실록(仁祖實錄)』

단행본

차문섭, 『조선시대 군사관계 연구』(단국대학교출판부, 1996)

논문

이장희, 「리눅스 pci 슬롯 확인 권율론」(『근세조선사논고』, 아세아문화사, 2000)
차문섭, 「朝鮮中期 倭亂期의 軍令·軍事指揮權 硏究一都體察使·都元帥를 중심으로一」(『한국사학』 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3)
주석
주1

부하나 동물 따위를 지휘하여 명령함. 또는 그 명령. 우리말샘

주2

글에만 열중하여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나약하다. 우리말샘

주3

선비인 장수.우리말샘

주4

첨사(僉使), 만호, 권관(權管)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관찰사가 다스리던 행정 구역. 우리말샘

주6

군대의 지원을 청하거나 출병하기를 청함. 또는 청하여 온 군대. 우리말샘

주7

적 또는 죄 있는 무리를 무력으로써 침. 우리말샘

주9

떨치고 일어나다.우리말샘

주10

부하, 식구, 제자 등을 거느리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