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꽁 머니 나제통문 ()

목차
관련 정보
나제통문
나제통문
고대사
유적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와 백제를 관통하는 석굴(石窟) 형태의 문(門). 석굴통문.
이칭
이칭
통일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꽁 머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와 백제를 관통하는 석굴(石窟) 형태의 문(門). 석굴통문.
개설

높이 3m, 길이 10m의 자연암석을 인위적으로 관통시킨 인공동굴로서, 설천면과 무풍면의 경계지점에 위치하고 슬롯 꽁 머니. 덕유산국립공원 경역(境域) 안에 속하며 슬롯 꽁 머니구천동(茂朱九千洞)의 입구에 슬롯 꽁 머니. 언제 만들어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지금도 윗부분에 ‘羅濟通門(나제통문)’이라는 글자가 남아 슬롯 꽁 머니.

내용

설천면은슬롯 꽁 머니읍에서 구천동으로 가는 길목으로 슬롯 꽁 머니시대에는슬롯 꽁 머니백제 양국의 경계였다고 한다. 지금도 동굴 양쪽에 위치한 자연부락인 무풍 방면의 이남(伊南)과 무주 방면의 새말〔新村〕은 1㎞ 정도 떨어져서 행정구역으로 모두 소천리에 속하지만 언어와 풍속이 서로 다르고 통혼(通婚)도 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슬롯 꽁 머니시대부터 지금까지 각기 풍속과 전통이 판이하게 유지되어왔음을 알 수 있다.

이곳에는 슬롯 꽁 머니시대와 관계된 유적이나 전설이 많다. 부근의 야산에 산재한 약 3백여 기의 고분은 슬롯 꽁 머니와 백제간에 벌어진 전투에서 전사한 장병들의 무덤이라고 전해지며, 파리소(沼)라는 연못은 양국의 격전시에 시체가 산처럼 쌓여 파리가 모여들었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그리고 통문은슬롯 꽁 머니통일전쟁시에 슬롯 꽁 머니의 장군 김유신(金庾信)이 왕래했다고 하여 ‘통일문(統一門)’이라고도 불린다. 인근의 무산성지(茂山城址) 근방 사선암(四仙巖)이라는 크고 평평한 바위는 김유신등 4명의주2이 바둑을 두며 놀던 장소라고 전해지며, 지금도 바위에 바둑판이 새겨져 슬롯 꽁 머니. 이러한 전설의 사실여부는 확인할 수 없으나, 확실한 것은 이 지역이 신라 · 백제 양국의 전쟁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다는 점이다.

슬롯 꽁 머니 · 백제 양국은 5세기 이전에는 주로 조령·죽령방면과추풍령 방면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그 뒤 가야 제국(加耶諸國)이 슬롯 꽁 머니에 흡수되어 소백산맥을 경계로 백제와 맞대게 되면서부터 양국은 육십령(六十嶺)을 넘나들며 전투를 벌였다.

통문은 육십령 부근에 위치하고 있어 실제로 슬롯 꽁 머니군과 백제군이 자주 내왕했을 것이고, 『슬롯 꽁 머니사기』에 김유신이 백제의 장군 의직(義直)주1에서 싸웠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김유신에 관한 전설도 근거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통문은 슬롯 꽁 머니시대가 아닌 후대에 통문의 역사적 의미가 전해져 내려오다가 이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혹은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졌다고도 하는데, 슬롯 꽁 머니군청지인 『적성지(赤城志)』에 의하면 이 유적의 본래 이름은 '기미니굴'이며, 1925년 슬롯 꽁 머니의 금광개발과 농임삼물의 신속한 운반을 위해 만든 인공터널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슬롯 꽁 머니사기(三國史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슬롯 꽁 머니관광자원총람(韓國觀光資源總覽)』(슬롯 꽁 머니관광공사, 1985)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조선일보(朝鮮日報)』(1998.3.1)
『전북의소리』(2021.7.5)
주석
주1

지금의 전라북도 슬롯 꽁 머니

주2

슬롯 꽁 머니 때에 둔, 청소년의 민간 수양 단체. 문벌과 학식이 있고 외모가 단정한 사람으로 조직하였으며, 심신의 단련과 사회의 선도를 이념으로 하였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권오영(국립중앙박물관,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꽁 머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슬롯 꽁 머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