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2 슬롯 김성립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 승문원정자, 홍문관저작 등을 지냈고, 허난설헌의 남편이자 문장가인 문신.
이칭
여견(汝見), 여현(汝賢)
서당(西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2(명종 17)
사망 연도
1592년(선조 25)
본관
안동(安東)
주요 관직
홍문관저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성립은 조선 전기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홍문관저작(弘文館著作) 등을 지냈고,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남편이자 문장가인 문신이다. 선조대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m 2 슬롯다. 장인 허엽과 아내 허난설헌, 처남 허균 등이 포함되었던 '허씨오문장'과 함께 당대의 문장가로 유명m 2 슬롯다.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싸우다가 젊은 나이에 사망m 2 슬롯다.

정의
조선 전기 승문원정자, 홍문관저작 등을 지냈고, 허난설헌의 남편이자 문장가인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m 2 슬롯(金誠立)은 1562년(명종 17)에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여견(汝見) 또는 여현(汝賢), 호는 서당(西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김노(金魯), 할아버지는 김홍도(金弘道)이다. 아버지 김첨(金瞻)은 홍문관교리(行弘文館校理), 경연시독관(兼經筵侍讀官), 혜민서교수(惠民署敎授) m 2 슬롯 지냈다. 어머니는 판서를 지냈던 은진송씨(恩津宋氏) 송기수(宋麒壽)의 딸이다. 아내는 조선 전기의 여성 문인으로 유명했던 난설헌 허초희(許楚姬)이다. 후일 홍씨(洪氏)와 재혼m 2 슬롯는데 홍세찬(洪世贊)의 딸이다. 동생은 김정립(金正立)이다. 아들은 김진(金振)이다.

주요 활동

1582년(선조 15) 식년 생원시에 입격m 2 슬롯고, 1589년 문과 주1 때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m 2 슬롯다. 글을 잘 지어 당시 문명으로 유명m 2 슬롯다. 장인 허엽(許曄)은 본인을 비롯해 자녀 4남매의 문장이 모두 뛰어나 당시 사람들에게 허씨오문장(許氏五文章: 허엽 · 허성 · 허봉 · 허난설헌 · 허균)이라 불렸던 것으로 전해진다. 허엽의 사위 m 2 슬롯과 우성전(禹性傳)도 문장으로 유명하여 당시 사람들은 허씨 가문이 가장 세력이 크다고 이야기할 정도m 2 슬롯.

허균(許筠)은 m 2 슬롯이 누이허난설헌의 인물이나 학문 수준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평가m 2 슬롯다. 허균의 평가 때문에 김성립은 후대에 천재 아내를 둔 옹졸한 남편의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김성립 역시 당대에 문장으로 유명m 2 슬롯고,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켜 목숨을 걸고 싸웠던 의기(意氣)를 지닌 인물이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31세에 의병으로 싸우다가 사망m 2 슬롯다. 시신을 찾지 못해 옷으로만 장례를 치렀던 것으로 전해진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방목(國朝榜目)』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호보(號譜)』

논문

이숙인, 「허난설헌: 동인(東人)의 누이, 소문을 타다」(『내일을 여는 역사』 55, 2014)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때 실시하던 임시 과거 시험. 태종 1년(1401)에 처음 실시m 2 슬롯으며 생진과의 초시와 복시, 문과의 초시ㆍ복시ㆍ전시 5단계로 나누었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m 2 슬롯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