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 토크 랏 슬롯 김령 ()

계암집 / 김영
계암집 / 김영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승문원관원, 주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준(子峻)
계암(溪巖)
시호
문정(文貞)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7년(선조 10)
사망 연도
1641년(인조 19)
본관
광산(光山)
출생지
예안(禮安)
주요 관직
주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아리스 토크 랏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승문원관원, 주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자준(子峻), 호는 계암(溪巖). 예안 출신. 김효로(金孝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유(金綏)이고, 아버지는 현감 김부륜(金富倫)이며, 어머니는 평산 신씨로 부호군(副護軍) 신수민(申壽民)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17세의 나이로 유성룡(柳成龍)의 막하로 자진 종군했으며, 당시 명나라의 총병사 오유충(吳維忠)과 유격장 노득공(盧得功) 두 사람으로부터 후한 대접을 받았을 정도로 학식이 숙성하였다.

그 뒤 1612년(광해군 4)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에 등용된 뒤 여러 벼슬을 거쳐 주서에 이르렀으나, 광해군의 어지러운 정치를 비관해 관직을 그만두고 낙향하였다. 1618년 인목대비가 폐위되자 두문불출 독서로 나날을 보내아리스 토크 랏 슬롯.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위험을 무릅쓰고 한양으로 인조를 찾아 나섰으나 난이 평정되아리스 토크 랏 슬롯는 소식을 듣고 아들 김요형(金耀亨)을 시켜 소를 올리게 하고서 돌아왔다. 뒤에 신하로서 아들을 시켜 상소하는 것이 도리에 어긋났다는 격렬한 상소가 있었으나 인조가 이를 모두 무마시켰다.

그 뒤로도 학덕을 잊지 못한 인조가 장령·보덕·헌납·사간 등으로 여러 차례 불렀으나 번번이 나가지 않았다. 그러나 병자호란이 일어나 청나라 병사가 남한산성을 포위하자 가산을 모두 털어 의병들의 군량미로 충당했으며, 남한산성이 함락되자 비분강개한 시 몇 편을 남겼다.

벼슬에서 물러나 처음에는 제자들과 경치가 아름다운 곳을 찾아 마음을 달래아리스 토크 랏 슬롯. 그러나 죽을 때까지 마지막 20여 년 간은 문 밖 출입을 삼가며 오가는 사람도 방에 앉아 영접하고 보내, 세상에서 영남의 제1인이라고 불렀다.

1689년(숙종 15)에 도승지에 추증되었고, 영조 때는 원액(院額)이 하사되아리스 토크 랏 슬롯. 저서로는 『계암집(溪巖集)』 6권이 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계암집(溪巖集)』
관련 아리스 토크 랏 슬롯 (1)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아리스 토크 랏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아리스 토크 랏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아리스 토크 랏 슬롯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아리스 토크 랏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