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 슬롯 교치설 ()

목차
관련 정보
전통교육
문헌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아동교육에 관한 지침서.
• 본 항목의 램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램 슬롯 요약

『교치설』은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쓴 아동교육에 관한 지침서이다. 9장 친필본으로 저작 연대는 1812년으로 추정된다. 당시 사용되던 『천자문』, 『통감절요』, 『사략』이 형식이나 램 슬롯 면에서 아동용 교재로는 부적당함을 논하였다. 『소학』은 아동교육에 준칙이 되어야 하며, 『논어』·『모시』 등 다양한 교재를 사용하여 학습의 질을 높일 것을 권하였다. 아동들에게 글쓰는 법을 가르칠 때에는 중국의 고각을 기본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다산학회에서 간행한 『여유당전서보유』에 수록되어 있다.

정의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아동교육에 관한 지침서.
서지적 사항

9장. 친필본(親筆本). 말미에 있는 ‘임신모춘(壬申莫春) 다산노초(茶山老樵)’라는 기록으로 보아 저작연대는 1812년으로 추정된다.

내용

램 슬롯은 당시 광범위하게 사용되던 주흥사(周興嗣)의 『천자문』, 강용(江鎔)의 『통감절요(通鑑節要)』, 증선지(曾先之)의 『사략(史略)』이 아동용 교재로는 부적당함을 논한 것이다. 「교치설」은 그의 또 다른 저작물인 『천문평(千文評)』 · 『사략평(史略評)』이나, 원저자가 박지원(朴趾源)혹은램 슬롯의 양설이 있는 「불가독설(不可讀說)」의 램 슬롯과 비슷하다.

램 슬롯은 『천자문』이 서거정(徐居正)의 『유합(類合)』보다 그 가치가 적은 것으로, 램 슬롯의 문자교육에 부적당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서거정의 『유합』은 『이아(爾雅)』 · 『급취(急就』의 장점이 남아있으나 『천자문』은 단지 한때의 희작(戱作:실없이 지은 글)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정약용은 『천자문』의 가장 큰 결함은 문자배열이 족별(族別) 혹은 유별(類別)로 분류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들고 있다. 즉, 천문개념에서 색채개념으로, 색채개념에서 우주개념으로 급격한 문자변환을 하는 『천자문』은 램 슬롯들로 하여금 사물에 대한 일관성 있는 이해를 방해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는 그 대안으로 사물을 동일한 성격과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교육시키는 유별 분류체계를 제시램 슬롯, 그 구체적인 작업으로 2천자로 구성된 『아학편(兒學編)』을 간행램 슬롯다. 또한, 증선지의 『사략』이 지닌 값어치는 주자(朱子)의 『소학(小學)』에 비하여 훨씬 그 가치가 적은 교재로서는 가치가 없음을 주장램 슬롯다.

역사서에 있어서도 천황씨(天皇氏) · 인황씨(人皇氏) 등 믿을 수 없는 전설이나 신화와 같은 황탄(荒誕 : 허황되고 황당함.)한 램 슬롯을 싣고 있기 때문에 신빙성이 없다는 것이다. 한편, 『소학』은 고례(古禮)와 명언 가운데에서 중요한 램 슬롯을 발췌하였으므로 아동교육에 준칙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교치설」에서는 강용의 『통감절요』는 『국풍(國風)』 · 『소아(小雅)』 · 『논어』 · 『맹자』 · 『대학』 등과 비교할 때 그 교육적 가치가 없음을 논램 슬롯다. 그 이유는 저자 강용이 도학자나 문장가가 아닌 의술에 종사하는 자로서 사상의 신뢰성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통감절요』가 주자의 『통감강목(通鑑綱目)』을 모방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사마온공(司馬溫公)의 『자치통감』의 필법을 옮기고 있어 그 대의에 위험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통감절요』의 15권은 그 분량이 지나치게 많아 램 슬롯들에게 염증을 주고, 최소한 5, 6년의 기간이 소요되어 독서에 흥미를 잃게 할 위험성이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그는 교재를 수시로 바꾸어 램 슬롯들에게 신선감을 주고, 『논어』 · 『모시』 등 다양한 교재를 사용하여 학습의 질을 높일 것을 권하였다. 또한, 항우(項羽)나 유방(劉邦)의 고사를 읽는 것보다는 소동파(蘇東坡) · 이태백(李太白) · 도연명(陶淵明) 등의 시문을 읽는 것이 더욱 도에 합당함을 역설하였다.

한편 램 슬롯들에게 글쓰는 법을 가르칠 때에는 중국의 고각(古刻)을 기본으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말미에는 잡술(雜術)과 참설(讖說:앞으로 다가올 일에 대해 길흉을 예언하는 설) · 비기(祕記)에 치우치는 것은 크게 경계하여야 할 것이라는 짤막한 경구가 실려 있다. 다산학회(茶山學會)에서 간행한 『여유당전서보유(猶堂全書補遺)』에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茶山經學思想硏究』(李乙浩, 乙酉文化社, 1973)
「丁若鏞 敎育理念의 經驗論的性格」(丁淳佑,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1)
• 항목 램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램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램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