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슬롯 과환록 ()

과환록
과환록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문신 홍재철이 자신의 과거 급제와 관직 생활을 기록한 일기.
• 본 항목의 킹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문신 홍재철이 자신의 과거 급제와 관직 생활을 기록한 일기.
서지적 사항

7책. 필사본.

내용

1825년(순조 25)부터 1864년(고종 1)까지 기록하고 있다. 서문이나 발문, 또는 기록 취지를 밝힌 킹 슬롯은 없다. 다만, 주서(朱書)로 킹 슬롯을 수정한 곳이 여러 군데 보인다.

제1책은 1825년부터 1828년까지로 생원시와 별시 문과에 급제해 승문원에 분관(分館 : 문과에 급제한 사람을 승문원·성균관·교서관 등에 배치시켜 權知라는 이름으로 실무를 익히게 하던 일)되는 과정을 거의 매일 킹 슬롯하고 있다.

특히,시권(試券)을 전재킹 슬롯,시관(試官)·참시관(參試官) · 감시관(監試官)의 명단, 시험 절차 등을 작은 글씨로 상세하게 킹 슬롯하고 있다.

제2책은 1829년부터 1838년(헌종 4)까지로 봉훈랑(奉訓郎)으로부터 영광군수에 제수되기까지의 일들이 킹 슬롯되어 있다. 그 중간 부사과(副司果)에 제수되기도 킹 슬롯, 약 20일간 시관으로서 승패(承牌 : 임금에게서 召命의 패를 받음)하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전라도 장성에 유배되기도 하였다.

제3책은 1839년부터 1842년까지로 승지에서성균관 대사성에 이르기까지의 일들이 킹 슬롯되어 있다. 의망(擬望) · 몽점(蒙點) · 명패초(命牌招) · 승패사은숙배(承牌謝恩肅拜) 등 관리 임용의 과정이 자세하게 킹 슬롯되어 있다. 특히, 연분(年分) · 포폄(褒貶) 및 암행어사 계목(啓目) 등을 승지로서 왕에게 복계(覆啓)하고 그 킹 슬롯을 부기하기도 하였다.

제4책은 1843년부터 1847년까지로 동지중추부사에 임명되고,형조 판서에 제수되기까지의 일이 기록되어 있다. 그 중간에 군보납미지법(軍保納米之法) · 읍진변혁(邑鎭變革) 등에 대한 의견을 제출하고 수의(收議)할 것을 건의하는 킹 슬롯, 진휼의 건의 · 시행 · 결과보고 등의 킹 슬롯 등이 구체적으로 부기되어 있어 주목된다.

제5책은 1848년부터 1854년(철종 5)까지로 대호군에 제수된 것 이외 관직상의 커다란 변동은 없다. 천망(薦望)에 관한 킹 슬롯과 자신의 사직소(辭職疏)가 눈에 띄게 빈번해진 것이 특색이다.

제6책은 1855년 ·1856년의 기록으로 가장 짧은 기간을 한 책으로 다루었으나 킹 슬롯은 제5책과 대동소이하다. 제7책은 1857년부터 1864년까지로 판의금부사 · 지돈녕부사· 경기도관찰사·예조판서 등을 거치는 동안의 일을 킹 슬롯하였다.

육상궁(毓祥宮) · 영녕전(永寧殿)의 제향에 초헌관(初獻官)으로 뽑히기도 하였다. 특히, 끝에는 고종의 즉위와철종상례(喪禮)에 참여한 사실을 적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각 사실을 ‘금상(今上) 몇 년 간지(干支) 월일’로 킹 슬롯하여 일기의 체재를 갖추고 있으며, 한 개인의 벼슬살이의 행적을 킹 슬롯하고 있어, 조선 후기 인사 행정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장서각도서에 있다.

관련 킹 슬롯 (3)
집필자
장순범(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학)
    • 항목 킹 슬롯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킹 슬롯,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킹 슬롯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킹 슬롯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