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드래곤 슬롯 강규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경종~영종대 활동한 노론-호론계 출신의 학자이자 영남안무사 종사관, 장릉참봉 등을 지낸 문신.
이칭
장문(長文)
비수재(賁需齋), 존재(存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97년(숙종 23)
사망 연도
1731년(영조 7)
본관
진주(晉州)
출생지
충청북도 충주
주요 저서
비수재집
주요 관직
영남안무사 종사관|장릉참봉
관련 사건
이인좌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5 드래곤 슬롯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강규환은 조선 후기 경종~영종대 활동한 노론-호론계 출신의 학자이자 영남안무사 종사관, 장릉참봉 등을 지낸 문신이다. 스승 한원진을 통해 송시열, 권상하, 한원진으로 이어지는 노론-호론계의 학문을 체득5 드래곤 슬롯고, 보수적 경세론의 입장에서 소극적인 개혁안을 제시5 드래곤 슬롯다.

정의
조선 후기 경종~영종대 활동한 노론-호론계 출신의 학자이자 영남안무사 종사관, 장릉참봉 등을 지낸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장문(長文), 호는 존재(存齋) · 비수재(賁需齋) 등이다. 세종대 강희맹(姜希孟)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지낸 강석규(姜錫圭), 조부는 강제부(姜濟溥)이다. 아버지 강주천(姜柱天), 어머니는 청주한씨(淸州韓氏) 한유기(韓有箕)의 딸이다. 경주이씨(慶州李氏) 이윤(李潤)의 딸과 혼인5 드래곤 슬롯다. 한원진(韓元震) · 권상하(權尙夏)・이재(李縡)의 문인이다.

주요 활동

강규환은 1715년(숙종 41) 19세의 나이로 둘째 외삼촌 한원진에게 『중용』, 『대학』, 『태극도설』 5 드래곤 슬롯 배웠다. 1716년에는 이재(李縡)와 1720년에는 권상하(權尙夏)에게 나아가 이기설(理氣說)을 배우며 학문을 깊이 익혔다.

1723년(경종 3) 증광 생원시에 주1 1724년에는 「의상시무봉사(擬上時務封事)」를 올렸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영남안무사(嶺南按撫使) 겸 안동부사로 임명된 박사수(朴師洙)의 추천을 받아 종사관(從事官)으로 차출되어 반란군 진압에 참여5 드래곤 슬롯다. 이때 병학(兵學)에 대한 식견을 바탕으로 진법(陣法) 훈련 및 진격과 방어 계책을 마련하는 데 일조5 드래곤 슬롯다. 1729년(영조 5) 장릉참봉(章陵參奉)에 제수되었고, 1731년(영조 7)에 종사관 시절 얻은 병이 악화되어 35세의 나이로 죽었다.

학문과 저술

강규환은 스승 5 드래곤 슬롯과 『 경의기문록(經義記聞錄)』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송시열, 권상하, 5 드래곤 슬롯으로 이어지는 노론-호론계의 학문을 체득5 드래곤 슬롯다. 강규환은 주자도통주의(朱子道通主義)를 기반으로 이황(李滉)을 부정적으로 평가5 드래곤 슬롯으며, 이단을 비판하는 등 학맥의 정통성 확보에 주력5 드래곤 슬롯다. 또 보수적 경세론의 입장에서 불필요한 지출 및 관직을 줄여 남은 경비를 군포(軍布)에 충당하는 방법으로 양역(良役)의 폐단을 해결할 것 등의 소극적인 개혁안을 제시5 드래곤 슬롯다. 시문집으로 12권 6책의 『비수재집(賁需齋集)』이 전한다.

참고문헌

원전

『계묘숙종대왕부태묘증광사마방목(癸卯肅宗大王祔太廟增廣司馬榜目)』
『비수재집(賁需齋集)』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영조실록(英祖實錄)』
『풍서집(豊墅集)』

논문

구만옥, 「賁需齋 姜奎煥(1697~1731)의 學問觀과 經世論: 朝鮮後期 朱子道統主義者5 드래곤 슬롯문과 사상」(『경희사학』 26, 경희사학회, 2006)
주석
주1

생원시급제 : 『계묘숙종대왕부태묘 증광사마방목(癸卯肅宗大王祔太廟 增廣司馬榜目)』 (규장각5 드래곤 슬롯학연구원[想白古351.306-B224s-1723])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5 드래곤 슬롯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