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사이트 갑사 ()

목차
관련 정보
갑사
갑사
의생활
개념
조선 후기, 평직과 사직을 상하좌우로 교차 배치하여 제직한 반투명한 견직물.
이칭
이칭
순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슬롯사이트는 평직과 사직을 상하좌우로 교차 배치하여 제직한 반투명한 견직물이다. 『정조실록(正祖實錄)』에 따르면 1760년 무렵에 조선에서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귀한 옷감으로 추정된다. 슬롯사이트의 명칭은 견사의 정련 상태에 따라서 생사로 제직한 생슬롯사이트·생수슬롯사이트와 견사를 삶아서 연사로 제직한 숙슬롯사이트·숙수슬롯사이트로 구분하기도 하고, 무늬의 유무에 따라 무문슬롯사이트·유문슬롯사이트로 구분하기도 한다. 무늬를 넣지 않고 바탕 조직으로만 제직한 무문슬롯사이트는 비늘과 같은 외관 때문에 특별히 '순인'이라는 이명을 쓰기도 한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평직과 사직을 상하좌우로 교차 배치하여 제직한 반투명한 견직물.
연원

『정조실록(正祖實錄)』에 따르면 1796년(정조 20)에 "조사의 장복(章服으로 반드시 슬롯사이트를 사용한 것은 30년 사이에 불과하며, 전에는 상방에서 구하더라도 얻기가 여려웠으니 어찌 매우 귀하지 아니하겠는가"라는 기록이 있으며, 이로 미루어 조선시대에 슬롯사이트는 1760년대 무렵부터 사용된 귀한 옷감이었던인 것으로 추정된다. 슬롯사이트(甲紗)에 대한 기록은 『순조실록(純祖實錄)』을 비롯하여 18세기, 19세기의 『의궤(儀軌)』류,『발기』류,『탁지준절(度支準折)』 등에 많으므로, 슬롯사이트가 당시에 남녀의 옷감으로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슬롯사이트의 종류는 실의 정련 여부에 따라서 생사 상태로 제직한 생슬롯사이트 · 생수슬롯사이트가 있고 견사를 삶아서 연사로 제직한 주1 · 숙수슬롯사이트로 구분하기도 하고, 무늬의 여부에 따라 무문슬롯사이트 · 유문슬롯사이트로 구분하기도 한다. 무늬 없이 제직한 무문슬롯사이트는 주2주3을 교차 배치한 외관이 마치 물고기의 비늘과 같은 느낌을 주어 특별히 '순인'이라는 이명을 쓰기도 한다. 유문슬롯사이트의 제직법은 바탕은 평직과 사직을 상하좌우로 교차하여 반투명하게 제직하고 무늬 부분은 평직 · 주4·주5으로 불투명하게 제직하여 무늬가 돋아나게 한다. 특히 『발기』류에는 용문슬롯사이트, 수복문슬롯사이트, 운학문슬롯사이트와 같이 시문된 무늬의 명칭을 구체적으로 적은 기록이 남아있어 구름 · 용 · 봉황· 학 · 나비 ·표주박 · 꽃 · 문자 등 다양한 무늬를 시문한 슬롯사이트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슬롯사이트는 조선 말기 전복·구군복과 같은 남성용 복식에도 사용되었고, 치마 · 저고리 · 당의·원삼 등 여성용 복식에도 중요하게 사용되었으며 유물도 많이 남아 있다. 슬롯사이트는 바탕과 무늬의 조화가 아름다워 현재까지도 전통 한복의 중요한 옷감으로 사용된다.

주석
주1

삶아 익힌 명주실로 짠 슬롯사이트. 우리말샘

주2

씨와 날을 한 올씩 엇바꾸어 짜는 방법. 또는 그렇게 짠 천. 질기고 실용적이어서 많이 쓴다. 광목ㆍ모시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3

씨실이 지나갈 때 날실의 자리를 바꿔 꼰 조직으로 짠 천. 우리말샘

주4

직물의 기본 조직의 하나. 날실과 씨실을 둘이나 그 이상으로 건너뛰어 무늬가 비스듬한 방향으로 도드라지게 짜는 방법을 말한다. 우리말샘

주5

무늬가 떠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짠 직물.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