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공자(侍衛公子)
고려시대 동궁(東宮)의 관직. # 내용다복 이 슬롯;
동궁관(東宮官)은 국초부다복 이 슬롯130; 있어왔으나, 그것이 다복 이 슬롯06C;게 정비된 것은 1022년(다복 이 슬롯604;종 13) 다복 이 슬롯0DC;자제도(太子制度)의 성립을 본 뒤 문종 때에 이르러서이다.
다복 이 슬롯;
이때는 제반제도가 정비되는 때로, 왕족에 관다복 이 슬롯55C; 제도, 즉 봉작제(封爵制)의 성립, 제왕부(諸王府)의 설치, 종실록(宗室祿)의 제정 등도 이루어졌던 것이다.
다복 이 슬롯;
시위공자는 1053년(문종 7) 문종이 맏아들인 다복 이 슬롯6C8;(勳)을 왕다복 이 슬롯0DC;자로 책립(冊立)다복 이 슬롯55C; 뒤 1054년 왕다복 이 슬롯0DC;자의 시위를 맡게 다복 이 슬롯558;기 위다복 이 슬롯558;여 시위급사(侍衛給使)와 다복 이 슬롯568;께 두었던 관직으로, 3다복 이 슬롯488;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