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 슬롯 월력장 ()

목차
관련 정보
과학기술
문헌
조선시대에, 역서의 첫 번재 장(張)을 지칭하는 용어.
이칭
이칭
단력장(單曆張)
문헌/문서
용도
역일 정보 일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댄 슬롯습니다.
내용 요약

댄 슬롯은 조선시대에 역서의 첫 번재 장(張)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그해 역서의 가장 기본적인 정보를 한 장(2페이지)에 요약, 수록하여 한 해의 역일(曆日) 정보를 한눈에 일람할 수 있게 한 장을 말한다. 댄 슬롯에는 그해의 역일 정보와 24절기의 날짜, 시각에 대한 정보만이 수록되었다. 단력장(單曆張)이라고도 지칭하였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에, 역서의 첫 번재 장(張)을 지칭하는 용어.
형태와 내용

댄 슬롯시대의댄 슬롯(曆書)는 일반적으로 맨 앞에서부터 댄 슬롯(月曆張)과 연신방위도(年神方位圖) 장이 나오고 그 다음으로 매월의 주1과 역주(曆註) 정보를 담은 장들이 등장한다. 일반 백성들에게까지 배포되었던 상용력(常用曆)인 일과력(日課曆)은 달별로 역일과 역주 정보를 담은 장이 한 장(2페이지)으로 이루졌다. 따라서 일과력은 평년(平年)에는 12장, 윤년(閏年)에는 13장으로 구성되었다. 댄 슬롯은 12개월 혹은 13개월에 해당하는 역일과 역주의 정보를 간략화해서 한 장(2페이지)으로 요약해, 열람자가 한 해의 역일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만든 것이다.

댄 슬롯에는 길흉(吉凶)의 정보를 포함하는 여러 역주 정보는 생략되고, 역일 정보에 해당하는 그해의 전체 날수와 달의 대소(大小), 윤달의 위치, 그리고 24절기의 정확한 날짜 및 시각 정보만이 수록되었다. 예를 들어, 평년의 경우 댄 슬롯에는 한 해 354일의 날수와 12달의 역일 정보, 24절기 정보가 기재되었다. 윤년이라면 한 해 383일 또는 384일의 날수와 13달의 역일 정보, 24절기 정보가 기재되었다. 참고로 윤달에는 24절기가 기재되지 않았다. 댄 슬롯은 단력장(單曆張)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한 장으로 이루어진 달력이라는 의미이다.

한편, 댄 슬롯시대에는관상감(觀象監)에서 간행한 역서들에서 일반적으로 댄 슬롯이 첫 번째로 인쇄된 면이었기 때문에, 댄 슬롯에는 그해 역서의 표제가 큰 글자로 기재되었다. 예를 들어, 1870년(고종 7) 일과력의 경우, 댄 슬롯의 첫 줄에 ‘대청동치구년세차경오시헌서(大淸同治九年歲次庚午時憲書)’라는 표제어가 적혔다. 따라서 댄 슬롯이 모든 역서의 표제장 역할을 했다. 마지막으로 조선시대의 댄 슬롯에는 관상감의 인장이 찍혔는데, 이는 해당 역서가 관상감에서 공식적으로 간행된 것임을 인증하는 의미를 지녔다.

참고문헌

논문

박권수, 「댄 슬롯시대 관상감의 역서 편찬과 인쇄」 (『댄 슬롯시대사학보』 94, 댄 슬롯시대사학회, 2020)
주석
주1

일 년 동안의 월일, 해와 달의 운행, 월식과 일식, 댄 슬롯, 특별한 기상 변동 따위를 날의 순서에 따라 적은 책. 우리말샘

집필자
박권수(충북대학교 교양교육본부)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댄 슬롯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댄 슬롯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