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 텍 슬롯재산관리법」은 1962년 플레이 텍 슬롯단체의 재산 관리를 위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제정한 법률이다. 플레이 텍 슬롯단체는 문교부에 등록하여야 하며, 사찰의 주지와 단체의 대표 임원이 취임하였을 경우에는 문교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플레이 텍 슬롯단체가 재산에 관한 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문교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플레이 텍 슬롯재산관리법」은 1987년에 「전통사찰보존법」이 제정되면서 그 부칙으로 폐지되었다.
「플레이 텍 슬롯재산관리법」은 플레이 텍 슬롯단체의 재산 및 시설의 관리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기 위하여 1962년 5월 31일 법률 제1087호로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제정하였다.
「플레이 텍 슬롯재산관리법」의 제정에 앞서 1962년 1월 20일 법률 제994호로 일제 주1의주2인「사찰령」이 폐지되었다. 1911년 6월 3일 조선총독부 제령 제7호로 제정된 「사찰령」은 사찰을 병합 · 이전 또는 폐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조선총독의 허가를 받도록 하였고(제1조), 사찰 플레이 텍 슬롯은 조선총독의 허가를 받지 아니하면 처분할 수 없었다(제5조).
「사찰령」을 대체한 「플레이 텍 슬롯재산관리법」에서는 플레이 텍 슬롯단체를 플레이 텍 슬롯의 주3, 포교, 주4 집행 및 신자의 교화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승려 또는 신도의 단체나 사찰을 말한다고 규정하였다(제2조). 플레이 텍 슬롯단체는 문교부에 등록하여야 한다(제6조). 이에 따라 사찰의 주지와 단체의 대표 임원은 회칙 또는 규약, 재산 목록, 수입 지출 예산서 등을 갖추어 플레이 텍 슬롯단체 등록 신청서를 관할청인 문교부장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플레이 텍 슬롯단체의 주지와 대표 임원이 취임하였을 경우에는 지체 없이 관할청인 문교부장관에 등록하여야 한다(제9조). 플레이 텍 슬롯단체 등록과 주지와 대표 임원 등록은 수리하였을 때 등록증을 교부하도록 하였다. 사찰 또는 단체의 등록은 종교 단체 중 플레이 텍 슬롯에만 부과되어 종교 차별이 문제가 되었다. 수리 권한의 남용을 통해 플레이 텍 슬롯 내의 분규에 정부가 개입한다는 비판도 있었다. 「플레이 텍 슬롯재산관리법」은 사찰의 경내 건물 또는 주5의 사용을 폐지하고자 할 때, 사찰 또는 플레이 텍 슬롯단체의 동산이나 부동산을 대여, 양도 또는 담보에 공하고자 할 때, 사찰의 운영상 그 예산의 범위 내에서 차입 또는 제삼자를 위하여 채무를 보증하고자 할 때, 경내 건물 또는 경내지의 용도 변경과 그 용도를 사찰 또는 플레이 텍 슬롯단체의 목적 이외의 목적에 제공하고자 할 때 관할청인 문교부장관의 허가를 받도록 하였다(제11조). 플레이 텍 슬롯단체가 재산에 관한 행위를 하는 경우에 정부의 허가를 받도록 함으로써 플레이 텍 슬롯 재산의 거래가 이루어지기 어렵게 하였다. 플레이 텍 슬롯단체는 창립할 때와 매 회계 연도 종료 후 1월 이내에 재산 목록을 작성하여 관할청에 제출하여야 한다(제14조). 주지는 사찰 재산에 중대한 증감 이동이 있을 때에는 7일 이내에 이를 관할청에 신고하여야 한다. 플레이 텍 슬롯단체는 매 회계 연도 수입 지출 예산을 정하여 연도 개시의 1월 전에 관할청에 이를 신고하여야 하고, 매 회계 연도의 수입 지출 결산서를 작성하여 연도 종료 후 2월 이내에 관할청에 이를 제출하여야 한다(제15조). 이 법에서는 경내지의 정화라 하여 경내에서는 누구든지 요식업 기타 당해 종교의 목적을 해하는 영업 행위를 할 수 없도록 하였다(제5조).
「플레이 텍 슬롯재산관리법」은 플레이 텍 슬롯계의 지속적인 비판이 이어져 1987년 11월 28일 법률 제3974호로 「전통사찰보존법」이 제정되면서 그 부칙으로 폐지되었다. 「전통사찰보존법」은 「플레이 텍 슬롯재산관리법」과 달리 모든 사찰이 아니라 역사적 의의를 갖는 전통 주6만이 등록 대상이 되었다. 전통 사찰의 주지가 경내지의 건조물 또는 경내지 사용의 폐지, 동산 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부동산의 대여 · 양도 또는 담보의 제공을 할 때는 문화공보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하지만 국가 또는 지방 자치 주7는 전통 사찰의 보존ㆍ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비의 일부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