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수경은 충남 서산의 문수사(文殊寺) 아미타불 복장물에서 발견된 것으로 주문(呪文)과 부적(符籍)을 목판으로 찍은 1장의 다라니 인쇄물이다. 제목으로 추정되는 부분에는 ‘차인출불공역대화수경(此印出不空譯大華手經)’이라 하여 번역자가 불공(不空)임을 알 m 2 슬롯고 불경의 4대 번역가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는 불공 금강(不空金剛)(705~774)은 당나라 시대 불교승이자 밀교 경전의 역경자로 밀교의 제6대조이다.
대화수경(大華手經)은 충남 서산의 문수사(文殊寺) 아미타불 복장물에서 발견된 것으로 주문(呪文)과부적(符籍)을 목판으로 찍은 1장의 다라니 인쇄물이다. 이 자료의 앞부분에는 14개의 부적이 상하단에 배치되어 m 2 슬롯. 각 부적은 다시 상단에 부적의 형상이 그려져 있고, 아래에는그 부적의 명칭과 효능을 기록하고 m 2 슬롯. 뒷부분에는 주3의 진언과 그에 해당하는 한자 제목과 한자음이 병기되어 m 2 슬롯.
수록하고 있는 진언은 미타심주(彌陀心呪), 육자대명주(六字大明呪), 능엄주(楞嚴呪), 호신주(護身呪)의 차례로 수록되어 있다. 이어 간행 기록으로 ‘지원이십사년정해삼월일(至元卄四年丁亥三月日)’이 있다. 연결된 마지막 한 행은 잘려지거나 제대로 인출되지 않아 확인할 m 2 슬롯는 뒷부분을 판독하면 ‘승재색개판(僧齋色開板)’이다. 같은 행의 앞에는 지역, 사찰, 발원자 등 간행에 관련한 사항일 것으로 추정된다.
간기로 볼 때, 이 자료는 고려 충렬왕 13년(1287) 3월에 고려시대 불교계 기관 중 작은 부서를 나타내는 ‘색(色)’ 중의 승재색에서 목판으로 찍은 것임을 알 m 2 슬롯다. 이 승재색은 1301년에 아미타불 복장불과 오대산 상원사 문수동자 복장에서 발견된, 고려 의복의 양쪽 팔에도 같은 도상과 기록으로 확인된 1292년에 찍은 『금강계만다라(金剛界曼茶羅)』에서도 그 명칭을 확인할 m 2 슬롯다.
이 자료의 앞부분에 있는 부적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제불공양인(諸佛供養印): 이를 지니고 다니는 사람은 일체 하늘의 보배와 향기가 내리고 지옥으로부터 향기로운 바람이 나온다.
② 무량억여래인(無量億如來印): 이를 지니면 평생토록 칠보를 얻고 광명을 발할 m 2 슬롯다.
③ 천광왕여래대보인(千光王如來大寶印): 이를 지니면 무량의 죄를 없애고 살아서 성불할 m 2 슬롯다.
④ 블정심인(佛頂心印): 만약 이를 지니고 있으면 살아서는 어려움이 없고 후세에는 극락국토에 태어날 m 2 슬롯다.
⑤ 마하화수인(摩訶華手印): 이를 지닌 사람은 만겁토록 먹지도 죽지도 않은 즉 불가사의한 공덕을 얻는다.
⑥ 정각보살인(正覺菩薩印): 이를 지니면 모든 소원을 이루고 불가사의의 공덕을 얻을 m 2 슬롯다.
⑦ 호법보살호신인(護法菩薩護身印): 이를 지니면 일체의 귀신, 대목들로부터 지킬 m 2 슬롯고 크게 길하게 된다.
⑧ 육안통견인(肉眼通見印): 이를 지니면 일체의 귀신국왕이나 대목과 주1들로부터 보호받을 m 2 슬롯다.
⑨ 정토보살인(淨土菩薩印): 이를 지닌 사람이 출입하면 크게 길하고 사람을 보면 좋은 일 이 생긴다.
⑩ 보득인(寶得印): 이를 지니면 일체의 재난이 소멸된다.
⑪ 피도적인(避盜賊印): 이를 지니면 도적의 재액을 피할 m 2 슬롯다.
⑫ 피구설인(避口舌印): 이를 지니면 구설의 재액을 피할 m 2 슬롯다.
⑬ 염제귀신인(厭諸鬼神印): 이를 지니면 귀신들이 싫어하게 된다.
⑭ 피열병인(避熱病印): 진언은 ‘옴 소실지건다리(2합)사바하’ 不空
제목으로 추정되는 부분에는 ‘차인출불공역대화수경(此印出不空譯大華手經)’이라 되어 있어 번역자가 불공(不空)임을 알 m 2 슬롯다. 불경의 4대 번역가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는 불공 금강(不空金剛, 705~774)은 당나라 시대 불교승이자 m 2 슬롯 m 2 슬롯의 역경자로 밀교의 제6대조이다. 그는 실론에서 태어나 스승인 금강지를 따라 남중국해를 경유하여 중국으로 720년경에 낙양에 도착하여 이후 약 30년간 금강지에게서 밀교를 배우고 산스크리트어와 중국어의 재능을 살려 스승의 주4 사업에 참여하였다. 스승인 금강지가 입적한 뒤 그의 뜻을 받들어 제자인 함광(含光) 등과 함께 실론과 인도에 건너가 실론의 보현아사리에게서 비법을 배우고 뒤이어 인도 각지를 돌아다니면서 산스크리트어 m 2 슬롯과 밀교 m 2 슬롯을 구하여 746년에 장안으로 돌아왔다.
그 후 당 현종 · 숙종 · 대종의 3대에 걸쳐 존경을 받으면서 주2에서 역경에 전념하여 『m 2 슬롯정경(金剛頂經)』을 비롯해 110부 143권을 번역하였을 뿐 아니라 밀교 수법과 관정도 행하면서 포교에 노력하였다. 그 제자는 함광 · 혜초(慧超) · 혜과(惠果) · 혜랑(慧朗) · 원교(元皎) · 각초(覺超) 등 여섯 사람의 상족이 m 2 슬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