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찬요』는 조선 초기 주자소(鑄字所)에서 태종의 명에 의하여, 조선시대에 처음으로 주조된 금속활자 계미자(癸未字)를 이용하여 인출 및 간행된 농업서적이다. 이 판본은 동북아 삼국에서 알려진 같은 서명의 판본 중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간행본이며 본문의 내용은 월령식(月令式)으로, 농사에 관한 여러 가지 일이 수록되어 슬롯 머신 소스.
『사시찬요(四時纂要)』는 슬롯 머신 소스 초기 주자소(鑄字所)에서 태종의 명에 의하여, 슬롯 머신 소스시대에 처음으로 주조된 금속활자 슬롯 머신 소스(癸未字, 1403~1420)를 이용하여 인출 및 간행된 농업 서적이다. 이 판본은 동북아 삼국에서 알려진 같은 서명의 판본 중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간행본이며 본문의 내용은 월령식(月令式)으로 기록한 농사에 관한 여러 가지 일이 수록되어 슬롯 머신 소스.
『사시찬요』의 편찬과 간행 시기는 8세기 말에 편찬되어 이후 중국의 여러 곳에서 간행 ‧ 유포되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슬롯 머신 소스. 다만 조선에서 1590년 경상좌병영에서 간행되었던 목판본의 저본에 수록된 발문에 의하면 송대 996년(至道 2)에 한주(杭州) 반가(潘家)에서 각수 시원길(施元吉)이 판각된 사실을 확인할 수 슬롯 머신 소스. 그밖의 『사시찬요』의 간행 기록으로는 북송 진종(眞宗) 천희(天禧) 4년(1020) 8월 이방(李昉)이 자신의 경험에 의하여 백성들이 파종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을 느껴 『사시찬요』와 『제민요술(齊民要術)』을 판각, 출판하였다. 그 후 소흥(紹興) 연간(1131~1162)에도 다시 목판으로 새겨 민간에 유포하였지만 오늘날 중국에서는 이른 시기의 판본은 확인되지 않는다.
이 책이 한반도에 어느 시기에 전래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조선 개국 초에 정부에서 계미자로 찍었던 것으로 보았을 때, 개국 후 정치적 안정과 더불어 민생을 살리고자 농업 생산의 개선에 노력한 여러 방안 중의 하나로 볼 수 슬롯 머신 소스.
1590년의 판본 권말에 이 저본을 유희잠(柳希潛)이 오래전에 구하였으나 간행하지 못하였고 또 책 슬롯 머신 소스을 일부 고치고 중요한 요어(要語)만을 찬술하였다가 그 원고를 삭주(朔州)의 선공감(繕工監) 판관(判官)으로 부임한 박선(朴宣)에게 주었지만 미루다가 1577년 이후 재물을 내고 기술자를 모아 한 달이 채 되지 않아 판에 새겨 출판하였다는 기록이 슬롯 머신 소스. 1590년 목판본에는 농사에 관련된 여러 가지 항목을 월령식으로 수록해 슬롯 머신 소스. 전체 698조 중 점후(占候), 택길(擇吉), 양진(禳鎭) 등이 348조이며 나머지 350조는 매달의 잡사에 이롭지 않게 되어 이를 내용별로 구분하면 481조 정도이다.
계미자 소자로 찍은 『사시찬요』는 현재 경북 예천의 남악(南嶽, 金復一) 종택의 소장본으로 그 형태적 특징을 보면 1책 77장이지만 권1의 권말 3장만 남아있고 권5의 권말 일부가 낙장되어 정확한 장수는 알 수 없다. 판면의 특징으로 한 면 11행 19자에 주(註)는 특소자(特小字) 및 극소자(極小字)가 두 줄로 배열되어 슬롯 머신 소스.
태종 때 주조된 슬롯 머신 소스는 조선에서 주조가 가장 빠른 금속활자로서 그 인본이 많지 않다. 이 활자의 특징은 조판 형태에서 글자의 식자(植字), 배열 중 활자가 거꾸로 식자되거나 크기가 다른 활자를 섞어 조판한 것이다. 판식은 슬롯 머신 소스 소자본인 『신간류편역거삼장문선대책(新刊類編歷擧三場文選大策)』과 같고 활자 가운데 송 태조의 성명인 ‘조광윤(趙匡胤)’ 중 ‘광(匡)’자의 마지막 1획이 결획된 자 등은 『신간류편역거삼장문선대책』, 『십칠사찬고금통요(十七史纂古今通要)』에서도 같은 양상이 나타난다.
이 책은 당시의 농업 기술과 사회경제 발전의 과정을 직 · 간접적으로 반영하고 슬롯 머신 소스. 오늘날의 관점에서는 이 책의 약 40%의 내용이 점술과 미신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 역시 당시의 시류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슬롯 머신 소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중국에서 당시까지 전래된 문헌을 반영하여 정리하고 작물로부터 가축과 가공, 보관까지의 전반적인 부분을 다루고 슬롯 머신 소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수 슬롯 머신 소스. 예천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으며, 2022년에 보물로 지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