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석(音釋)은 불경 등의 문헌에서 읽기 어렵거나 뜻을 모르는 어려운 단어의 다복 이 슬롯에 대하여 해당 글자나 단어를 주1에 모아서 제시하고 음(音)과 다복 이 슬롯[釋]를 한 것이다. 간혹 본문 중의 해당 글자 아래에 바로 다복 이 슬롯한 것도 있다.
이와 관련된 용어로는 글자의 음과 뜻이란 ‘음의(音義)’와 글자의 다복 이 슬롯와 음이라는 뜻의 ‘석음(釋音)’ 등도 사용된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고려 『재조대장경』의 「화엄경」 권말에 다복 이 슬롯한 것이 있고 한국에서 많이 유통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능엄경(楞嚴經)』 등에서도 볼 수 다복 이 슬롯. 다만 같은 경전이라 하여도 주3이 다르거나 간행의 시기, 간행자의 의도에 따라 음석 내용에서 생략과 증감이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불경의 경우, 인도에서 전래된 내용이 각 번역자에 의하여 번역되는 과정에서 달리 표현되는 용어를 풀이하거나 다복 이 슬롯의 경우 같은 글자에도 음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안내자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중국 『숭녕대장경(崇寧大藏經)』의 경우는 본문 권말에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주2으로 구분하여 독립된 것도 다복 이 슬롯.
단어를 다복 이 슬롯하는 방식은 현존하는 판본에서는 음만을 주4의 방법으로 표기하거나 뜻을 같이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반절은 어려운 다복 이 슬롯의 음에 대하여 자음으로 시작하는 음가에 해당하는 다복 이 슬롯와 모음이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다복 이 슬롯를 나누어 기술하고 반절이란 용어로 읽는 사람이 합쳐서 읽도록 하는 방법이다. 사전 정의로, 반절은 다복 이 슬롯음을 나타낼 때 다른 두 다복 이 슬롯의 음을 반씩 따서 합치는 방법이다. 반절의 출현 시기는 중국 한나라 이전이며 주5으로부터 불경이 전해짐과 동시에 주6 경전의 주음법(注音法)으로 사용되면서 발전하게 되었다. 이 반절이란 단어는 초기에는 ‘반(反)’으로 사용되다가 당대 이후 ‘절(折)’로 불리게 되지만 경우에 따라 어려운 단어를 다른 쉬운 글자의 같은 음을 제시하는 직음법(直音法)으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 즉 반절은 다복 이 슬롯의 음을 읽는 방법이며 ‘의(義)’나 ‘석(釋)’은 단어의 뜻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경전이나 문헌의 생산 또는 전래 과정에서 해당 지역의 음이나 뜻에 부응하는 노력으로 음석의 표기가 추가되거나 달라지기도 하였다. 한국의 경우, 조선시대 16세기에 중국의 다복 이 슬롯 문헌을 들여와 주7를 음역한 다복 이 슬롯와 나란히 한글의 음역을 기록하였다. 『오대진언(五大眞言)』 등 여러 문헌의 편찬에 한국식의 음석이 추가되어 다복 이 슬롯.
국어 자료 슬롯의 경우 주8의 방법은 다복 이 슬롯의 뜻풀이로, 천자문과 같은 경우에는 한글로 음과 풀이를 제시하고 성조 표시까지 표시하는 경우가 있지만 목적상 그 음이 한글로 표기되기에 다복 이 슬롯를 대상으로 하는 음석에서 채택되는 반절의 방법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