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롯 머신 환수 율은 밥의 보관 및 저장, 이동 및 운반 등을 위해 밥을 담는 데 쓰는 식기(食器)이다. 주로 뚜껑이 있고 둥글넙적한 원통의 합(盒, 榼) 형태이다. 흔히 나무와 흙, 놋쇠 등으로 만들었던 슬롯 머신 환수 율은 근대 시기를 지나면서 양은, 스테인리스강 등 금속류,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류 등 다양한 신소재의 사용과 아울러 전기 및 전자 관련 기술이 접목되면서 재질 및 디자인, 기능 등이 다변화되었다. 취사나 찜 등의 조리까지 가능한 ‘밥솥 겸용 전자 보온 슬롯 머신 환수 율’으로 진화하면서 오늘날 필수적 살림살이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밥의 보관 및 저장, 이동 및 운반 등을 위해 밥을 담는 데 쓰이는 식기는 ‘합(盒, 榼)’, ‘통(桶)’, 밥소라[食所羅], 밥고리[식고리(食古里)], 밥바구니(밥소쿠리, 밥차롱), 밥함지(밥도고리) 등이다.
밥을 담는 합(盒, 榼)인 ‘반합(飯榼, 飯盒)’은 국가유산으로 지정된 15~16세기 분청사기상감모란문반합[粉靑沙器象嵌牡丹文飯盒]이나 주1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1627년에 간행된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 사옹원배설(司饔院排設) 기사에서는 ‘뚜껑 있는 놋쇠합[鍮榼蓋具, 놋슬롯 머신 환수 율]’을 ‘반합(飯榼)’이라고 기록하였으며, 이후 다수 의궤에 반합이 나오고있다.
경상도풍기향교(豊基鄕校)의 『잡록(雜錄)』 1670년 8월 3일 기사에 “향교 제의 때 사용할 ‘반통(飯桶)’을 칠했다.”는 기록을 통해, ‘나무슬롯 머신 환수 율(목슬롯 머신 환수 율)’ 사용을 추정할 수 있다. 1756년의 『선원보략수정의궤(璿源譜略修正儀軌)』에는 ‘식고리(食古里)’가 나오는데, 『규합총서(閨閤叢書)』에는 한글로 ‘밥소라’를 기록하였다. 1920년대 이후 신문에는 큰 합을 ‘슬롯 머신 환수 율’으로 쓴다거나, 질슬롯 머신 환수 율, 양은슬롯 머신 환수 율, 스테인리스슬롯 머신 환수 율, 전기보온슬롯 머신 환수 율 등 ‘슬롯 머신 환수 율’ 관련 다양한 기사가 나온다. 또한 슬롯 머신 환수 율은 ‘도시락(고리)’의 의미로도 쓰고 있다. 20세기 중반에 나온 『조선말큰사전』에는 ‘슬롯 머신 환수 율’을 ‘밥을 담는 나무통’이라 기록하였고, 이외에도 ‘밥을 담아 두는 그릇’으로 ‘밥소라’와 ‘밥자배기’를 기재하였다. 한편 현재는 ‘반합’을 군용 · 등산용 등 알루미늄 그릇으로 한정하고 있어, 조선시대의 ‘반합’과는 거리가 있다.
슬롯 머신 환수 율은 주로 원통형의 둥글넙적한 형태로 뚜껑이 있는 ‘합’의 형태가 흔하며, 뚜껑과 몸체로 이루어져 있다. 크기는 다양하지만, 높이는 15㎝ 내외, 입지름은 20㎝ 내외의 것이 많다. 뚜껑에 꼭지를 달아 여닫기 쉽게 만들거나, 몸체에 손잡이나 걸이를 단 것도 있다. 슬롯 머신 환수 율의 뚜껑과 몸체 외면에 모란 등의 꽃, 산수화, 십장생, 식물, 동물, 풍경화, 탑 등의 건축물, 기하학적 문양, 주2 문자 등의 문양으로 장식하거나 주3을 두르고 칠을 하는 등 멋을 더하였다. 근현대로 오면서 색채나 형태, 문양 등이 더욱 다양해졌다.
슬롯 머신 환수 율은 나무나 흙, 돌, 동(銅) · 은(銀) · 철(鐵), 알루미늄, 양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류, 플라스틱 · 멜라민 등의 합성수지류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든다. 과거에는 주로 한 재질로 만들었지만, 근대 시기 이후 다양한 소재를 복합 사용하게 되었다. 재질에 따라 놋슬롯 머신 환수 율(놋반합), 질슬롯 머신 환수 율, 돌슬롯 머신 환수 율, 나무슬롯 머신 환수 율, 양은슬롯 머신 환수 율, 법랑슬롯 머신 환수 율, 스테인리스슬롯 머신 환수 율, 멜라민슬롯 머신 환수 율 등이 있다. 특징에 따라 이중슬롯 머신 환수 율, 보온슬롯 머신 환수 율, 시루겸용슬롯 머신 환수 율, 밥솥겸용슬롯 머신 환수 율, 도시락슬롯 머신 환수 율, 전자슬롯 머신 환수 율, 전기슬롯 머신 환수 율 등으로도 불려 진다.
슬롯 머신 환수 율은 농촌에서새참 등을 위해 많은 사람의 밥을 담는 등 일상생활에 많이 쓰였다. 봄 · 여름에는 수분 흡수력이 좋은 나무슬롯 머신 환수 율이나 질슬롯 머신 환수 율을, 가을 · 겨울에는 자기, 사기, 유기 등 보온하기 좋은 재질의 슬롯 머신 환수 율을 주로 사용하였다. 특히 더운 여름철에는 베보자기 등 마른 밥보자기나 바람이 통하는 소쿠리 같은 것으로 덮어 찬 곳에 보관하거나, 밥바구니에 넣어 주4에 걸어 두는 등 밥이 상하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겨울에는 슬롯 머신 환수 율을 따뜻한 아랫목 이불 속에 묻어 두거나, 슬롯 머신 환수 율 덮개나 시판 슬롯 머신 환수 율 케이스로 싸서 보온하였다.
이외에도 제례와 혼례 등 각종 의례에 쓰였으며, 근현대로 오면서 명절 선물로도 쓰였다. 제례에는 제사를 지낼 때 주8 밥을 지은 후 담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데 사용하는 주6로도 쓰였다. 민간에서 슬롯 머신 환수 율은 ‘복(福)’을 상징한다고 여겼기에 혼례 때 혼수품으로도 중요하였으며, ‘놋슬롯 머신 환수 율’에 혼인 축하 글자를 새겨 주기도 하였다. 1970년대 등장한 ‘전기슬롯 머신 환수 율’은 그 편리함 때문에 필수적 혼수 품목이 되어 인기 생활 가전으로 자리잡으면서, 1970년대 후반에는 추석 명절 선물로 추천될 정도로 인기가 좋았다. 이는 농촌에까지 이어져 ‘슬롯 머신 환수 율계’를 만들어 ‘전기슬롯 머신 환수 율’을 구입할 정도였으며, 슬롯 머신 환수 율 제조 회사에서도 12명이 주9를 조직하면 구입할 수 있다고 광고하기도 하였다.
한편 슬롯 머신 환수 율은 관용적인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슬롯 머신 환수 율이 떨어지다.’라는 것은 ‘일자리를 잃게 된다.’를 의미하고, 철로 만든 슬롯 머신 환수 율 즉 ‘철슬롯 머신 환수 율’은 깨지지 않을 만큼 튼튼하다는 차원에서 고용이 안정된 직업이나 직장을 의미한다.
조선시대의 슬롯 머신 환수 율은 반합, 반통(飯桶), 밥소라, 밥고리 등의 식기명으로 나타나며, 근대 시기를 거치면서 슬롯 머신 환수 율이라는 식기명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 과거에는 놋슬롯 머신 환수 율이나 나무슬롯 머신 환수 율, 백자반합, 질슬롯 머신 환수 율, 밥소라, 밥함지, 밥자배기, 밥고리 등을 슬롯 머신 환수 율으로 쓰다가, 1930년대부터 양은, 스테인리스, 합성수지 등 다양한 신소재 슬롯 머신 환수 율 시대가 열리면서 기능까지 개선된 슬롯 머신 환수 율이 나오게 되었다. 찜판이나 밥그릇 주7을 넣은 ‘보온통을 겸한 슬롯 머신 환수 율’이 나오다가, 1970년대 이후에는 안쪽과 바깥쪽 용기를 이중으로 한 ‘이중슬롯 머신 환수 율’이 등장하였다. 이후 전기 발열판을 내장한 ‘전기 보온 슬롯 머신 환수 율’과 항온 전자 장치를 부착한 ‘전자 보온 슬롯 머신 환수 율’을 거쳐, 취사 가능 ‘밥솥 겸용 슬롯 머신 환수 율’으로 발전되면서 슬롯 머신 환수 율의 혁신적 전환기를 맞게 되었다. 1980년대 이후에는 수입 슬롯 머신 환수 율 증가가 사회적 문제가 될 정도로 슬롯 머신 환수 율은 인기 생활 가전제품으로 자리잡으며, 필수적 살림살이로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또한 슬롯 머신 환수 율은 다인용 밥을 보관하는 외에도 휴대용으로서의 1인용 도시락(밥동고리, 보온 도시락 등)이나 군용 반합, 나들이용 도시락의 부속 슬롯 머신 환수 율으로 이어지면서, 1인용부터 다인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