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 카페 슬롯는 1950년대에 도입된 이래 젊음과 자유를 상징해 온 청색 데님 소재의 튼튼한 바지이다. 1960년대의 영화 산업과 1970년대 청년문화는 티 카페 슬롯가 보급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 후 여가 생활이 늘어나면서 사람들은 티 카페 슬롯를 즐겨 입게 되었으며, 1983년 교복 자율화를 기점으로 티 카페 슬롯 시장은 확대되었다. 1990년대에는 힙합 티 카페 슬롯, 고가의 수입 브랜드 티 카페 슬롯 등으로 다양화되었고, 2000년대에는 로라이즈 부츠컷의 티 카페 슬롯, 빈티지 티 카페 슬롯, 업사이클링 티 카페 슬롯 등이 등장했다.
티 카페 슬롯의 영어 명칭은 블루 진(blue jeans)이다. 단수형 ‘진(jean)’은 튼튼한 주1의주2을 가리키며, 복수형 ‘진즈(jeans)’는 그 소재로 만든 바지라는 뜻이다. 미국에서 골드러시(Gold Rush)가 한창이었던 1853년(철종 4)경 리바이 스트라우스(Levi Strauss)라는 청년이 천막에 사용하던 두꺼운 데님 소재로 광부들의 작업용 바지를 만들어 판 것이 티 카페 슬롯의 원형이 되었다. 그 후 티 카페 슬롯는 작업복과 노동복으로 널리 착용되다가 1950년대에 영화배우 제임스 딘(James Dean)과 1960년대에 미국의 히피(Hippie)들이 티 카페 슬롯를 입으면서, 티 카페 슬롯는 곧 기성세대에 대한 젊은 세대의 반항을 상징하는 도구가 되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였다.
우리나라에 티 카페 슬롯가 처음 들어온 것은 1950년대 한국에 주둔하던 미군들을 통해서였다. 그러나 그 당시 티 카페 슬롯는 아주 귀해서, 미군들이 입던 중고 티 카페 슬롯가 미군 부대 인근이나 남대문 시장, 동대문 시장 등에서 팔리는 정도였다. 또는 서울 순화동 등에서 소규모 영세 업체들이 미국의 군복을 염색하여 티 카페 슬롯 비슷하게 만들어 팔기도 하였다. 그러다 1970년 평화시장에 있던 옷가게 ‘제일사’(지금의 ‘뱅뱅’)가 수출하고 남은 원단으로 바지를 만들었는데, 그것이 국산 티 카페 슬롯의 시작이 되었다.
티 카페 슬롯의 청색은 깊은 파란색으로, 인디고 블루(indigo blue)라고 하는 인디언들의 천연염료를 기원으로 한다. 티 카페 슬롯는 오랜 역사만큼 그 형태 및 종류가 다양하다. 그러나 오랜 기간 동안 실용성과 내구성을 위해 고안되어 온 특정 디테일들이 있다. 처음에 티 카페 슬롯에는 앞면 중앙에 단추 가리개, 양 옆에 두 개의 주머니, 뒷면 오른쪽에 한 개의 주머니가 있었다. 그 후 앞면에 작은 워치 포켓(watch 주3, 뒷면 왼쪽에 주머니를 추가하면서 다섯 개의 주머니로 구성된 티 카페 슬롯의 표준이 완성되었다. 또한 주머니에 장식된 구리 소재의 주4, 허리 벨트, 옆선 등에 장식된 스티치 역시 내구성을 위해 고안된 것들이다.
1960년대의 영화 산업의 발달은 티 카페 슬롯를 보급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그때까지도 티 카페 슬롯를 시중에서 구하기는 어려운 일이었다. 젊은이들은 국내외의 유명한 배우들이 영화 속에서 입고 나온 티 카페 슬롯를 구하고자 구호 물품 시장을 찾아다녔다. 1970년대가 되자 남대문시장, 동대문시장, 부산의 국제시장 등에서 티 카페 슬롯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외에도 젊은이들은 남산에서 이태원으로 넘어가는 골목 일대에 생긴 가게들에서 티 카페 슬롯를 사서 입거나, 신촌 일대에 있던 맞춤 바지 전문점에서 티 카페 슬롯를 맞추어 입었다.
티 카페 슬롯가 대중적으로 보편화된 것은 1970년대 말 여가 생활이 증대되면서 사람들이 야외 활동에 편한 티 카페 슬롯를 즐겨 입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 그리고 1983년에 시행된 교복 자율화를 계기로 티 카페 슬롯는 청소년들의 실용적인 옷으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그 영향으로 1980년대에는 ‘뱅뱅’, ‘장원’, ‘화이트호스’, ‘아라아라’, ‘빅보이’ 등의 국산 브랜드만 있었으나 ‘조다쉬’, ‘리바이스’, ‘써지오 바렌테’와 같은 해외 라이선스 브랜드들이 차례대로 출시되면서 티 카페 슬롯 시장은 확대되었다. 또한 1987년경에는 ‘패션 진’이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컬러나 희끗희끗한 반점 무늬가 있는 감각적인 디자인의 티 카페 슬롯들이 쏟아져 나왔다. 1990년대에는 1992년 가수 서태지의 독특한 옷차림이 청소년 사이에서 크게 인기를 끌면서 힙합 티 카페 슬롯가 유행하였다. 그리하여 거리에는 헐렁한 티 카페 슬롯에 벨트를 엉덩이까지 길게 늘어뜨리고 거리를 청소하듯 바짓단을 질질 끌고 다니는 청소년들이 늘어났다. 한편 1989년 수입 자율화 정책의 실시로 고가의 티 카페 슬롯 수입 브랜드들이 들어오기 시작하여, 한 벌에 수십만 원이 넘는 해외 프리미엄 진이 화제를 모으기도 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골반 아래로 걸쳐 입도록 주5가 짧고 종아리 아래를 약간 퍼지게 한 로라이즈(low rise)의 부츠컷(boot-cut) 티 카페 슬롯가 유행하였으며, 중고 의류의 붐을 타고 빈티지(vintage) 티 카페 슬롯가 인기를 모았다.
1974년 3월 29일자 『동아일보』는 「오늘날의 젊은 우상들」이라는 기사를 통해 “블루진(티 카페 슬롯)과 통기타와 생맥주-그것은 확실히 염색한 군복과 두툼한 주6와 바라크(baraque)의 막걸리가 상징하는 반(半)세대 전과 다른 풍경이다. 그들은 경쾌함을 지나쳐 경박하게 보이고 신선하다 못해 외설스럽게 느껴지며 비(非)문화적이라기보다 반(反)문화적으로까지 생각된다.”고 하였다. 이렇게 티 카페 슬롯는 그 이전의 시대와 확실히 다른 문화적 표현 도구로서 1970년대 청년문화를 아우르는 상징물이었다.
티 카페 슬롯가 당시 젊은이들에게 환영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성별, 연령, 사회적 신분에 관계없이 누구나 입을 수 있다는 점이 컸다. 그와 동시에 티 카페 슬롯는 세계와 동시대적으로 느끼는 멋의 표현이자 타인과 나를 구별 짓기 위한 도구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티 카페 슬롯는 현대 한국 사회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보편성과 차별성, 세대적 가치와 개인의 취향 등 다양한 시대적 가치와 욕망을 표현해 왔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에는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성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친환경적인 공법으로 제조된 티 카페 슬롯, 업사이클링(up-cycling)된 티 카페 슬롯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또한 실버 세대를 위한 티 카페 슬롯 등과 같이 티 카페 슬롯는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표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