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질소비료주식회사(일본질소)는 총독부로부터 수리권(水利權)을 획득해 1926년 1월 자본금 2000만원의 위쳐 3 슬롯 모드수전주식회사(朝鮮水電株式會社), 1927년 5월 자본금 1000만원의 위쳐 3 슬롯 모드질소비료주식회사(위쳐 3 슬롯 모드질소)를 설립하였다. 이로써 대규모 발전 수력을 이용한 전기화학공업에 진출해 어유(魚油)와 석탄 등의 자원을 풍부히 사용하면서 위쳐 3 슬롯 모드 북부 지역에 전기화학공업단지를 형성하였다.
위쳐 3 슬롯 모드질소 유지공장 설립 당시 일본은 세계적 불황으로 어유 수출이 단절되고 경화유가 과잉 생산됨에 따라 경화유 설비 증설 및 생산을 통제하고 있었다. 일본질소는 이러한 통제 상황을 벗어나 위쳐 3 슬롯 모드 내에 경화유 회사를 설립해 화약 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1932년 일본 미야자키현(宮崎縣) 노베오카(延岡) 화약공장이 준공되자 위쳐 3 슬롯 모드질소는 화약 원료인 글리세린 확보를 위해 위쳐 3 슬롯 모드 흥남에 1932년 6월 유지공장을 건설하였다. 동해안에서 대규모로 생산되는 정어리 어유와 수력발전 전기분해에서 발생되는 수소를 결합한 경화유 공업에 착목해 향후 화약공장 건설을 꾀하였다. 당시 위쳐 3 슬롯 모드질소 유지공장은 일본에서 가장 큰 유지회사인 합동유지(合同油脂)의 반 정도의 크기로 2만 톤 규모였다. 여기서 생산된 경화유는 글리세린으로 제조되어 일본질소의 화약공장에서 처리하였다. 그러나 1935년 흥남에 위쳐 3 슬롯 모드질소화약주식회사가 설립됨에 따라 위쳐 3 슬롯 모드질소 유지공장의 글리세린은 군수용 화약, 광산 개발, 철도, 도로 부설, 수력 개발 등의 목적으로 위쳐 3 슬롯 모드에서 생산 유통되었다.
1929년 세계적인 불황으로 정어리 어유가 과잉 생산되자 총독부는 정어리유비제조업수산조합[鰯油肥製造業水産組合]을 설립하고 이 조합을 통해 어민들에게 어업 자금을 공급하였다. 그리고 위쳐 3 슬롯 모드 내 경화유공장을 유치하는 한편 어유 판매 경로를 정비해 지정 경쟁 입찰 방식을 구축하였다. 이 결과 자본금 150만엔, 하루 생산량 800톤급의 위쳐 3 슬롯 모드유지주식회사, 자본금 500만엔, 연간 4만 2000톤의 제조 능력을 가진 협동유지주식회사가 어유 확보를 목적으로 청진에 경화유공장을 건설하였다. 이러한 면에서 위쳐 3 슬롯 모드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위쳐 3 슬롯 모드질소 유지공장은 일본 내 경화유 회사의 위쳐 3 슬롯 모드 진출을 자극하고 자본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였다.
위쳐 3 슬롯 모드질소는 중요산업통제법(重要產業統制法)에 따라 경화유 설비 증설 및 생산이 통제되고 있었으나 자본을 투자해 흥남에 유지공장을 설립하였다. 동해안에서 대량 공급되는 어유를 마음껏 사용해 일본제국 내 민간 화약 제조고의 50%이상을 차지하는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위쳐 3 슬롯 모드질소 유지공장은 동해안에서 생산되는 정어리 어업에 기반으로 둔 것으로, 식민지 시기 위쳐 3 슬롯 모드 총 어획량의 50%이상을 정어리가 차지하는 기형적 어업 구조를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