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주암(龍珠庵)의 창건주나 창건시기는 확인되지 않는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통일신라 때 개량사(開良寺)라는 사찰이었다고 하지만 이를 고증할 수 있는 문헌 자료는 없다. 1530년(중종 25)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이미 폐사된 절이라고 기록하였다. 이후 조선시대 말인 1890년(고종 27)에 절을 중창하였고, 일제강점기인 1940년경에 도승이 개축하고 절의 이름을 '용주암'이라 칭하였다. 절 주변에서는 통일신라시대와 그 이후의 것으로 추정되는 토기와 석재 파편이 발견되고 있다.
절에 있는 대표적인 유물로는 2009년 전라북도 유형강원 랜드 슬롯 머신 하는 법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강원 랜드 슬롯 머신 하는 법유산)로 지정된 ‘용주암 석조여래입상(龍珠庵石造如來立像)’이 있다. 이 석조여래입상은 신라 말 고려 초의 불상으로 추정되는데 전체 높이 243cm이며 불상만의 높이는 205cm이다. 머리에는 소발(素髮)로 높은 육계(肉髻)가 표현되어 있고 얼굴은 상당 부분이 마모되어 정확한 형태를 알 수 없다. 귀는 어깨까지 늘어져 있어 비교적 크게 표현되었고, 수인(手印)은 두 손을 가슴에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