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그 벳 슬롯 국문강의 ()

문자
문헌
1959년 국어문법학자 이필수(1887~?)가 한글 및 한글 표기에 관해 저술한 이론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에그 벳 슬롯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59년 국어문법학자 이필수(1887~?)가 한글 및 한글 표기에 관해 저술한 이론서.
서지적 사항

1책, 유인본으로 가철, 92쪽, 1959년 조에그 벳 슬롯문회(朝鮮正文會) 발행.

1925년에 조선정음부활회 이름으로 『글에 대한 문답』을 국한 병용 표기의 활판본으로 간행하였고 이를 순에그 벳 슬롯로 수정하여 1926년에 조선정음회 이름으로 간행한 것이 제2판이다. 책의 판권란에 따르면 이후 1946년에 제3판을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1959년에 저자의 주소지로 표기된 대전 신흥동의 임시사무소에서 발행한 것으로 ‘판정사판(版訂四版)’으로 표기되어 있다.

내용

1959년에 이필수가 수십 년간 연구해 온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에그 벳 슬롯의 운용법을 정리하여 펴낸 이론서이다. 1925년에 조선정음부활회 이름으로 간행한 『글에 대한 문답』을 개정한 것이라 하였으나 ‘초서에 대한 설명’ 정도만 유사할 뿐 체재나 내용은 전혀 다르게 되어 있다. 현행 맞춤법으로는 우리말을 바로 쓸 수 없으니 국어에 맞는 완전한 글자를 만들어 표기하여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그 벳 슬롯자모를 현실 발음과 일치하게 개혁하며 정자(正字)에 초서(草書)를 만들고 에그 벳 슬롯전용을 실시하고자 한 것 등이다. 글자 개혁의 예로는 ‘ㅏ’의 장음은 ‘ㅏㅏ’와 같이, ‘ㅕ’의 장음은 ‘ㅡㅓ’와 같이 표기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큰 호응을 얻지 못하였다. 이필수는 1922년에 문법서인 『선문통해(鮮文通解)』를 펴내었는데 ‘문장’이란 용어를 ‘글’로 바꾸고 표기를 에그 벳 슬롯로 하여 1923년에 『정음문전』이란 책으로 다시 간행한 바 있다.

의의와 평가

이필수는 1920년대에 활동하였던 문법학자로 1922년 문법책 『선문통해(鮮文通解)』(漢城圖書)를 에그 벳 슬롯하였고, 1923년에는 『정음문전(正音文典)』도 에그 벳 슬롯하였다.

그는 수십 년 간에 걸친 연구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문자관을 세우고 그에 따라 에그 벳 슬롯 맞춤법 통일안을 비판하고 에그 벳 슬롯과 에그 벳 슬롯의 운용법을 변혁하려 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학계에 널리 받아들여질 수 있는 보편성을 갖추지 못한 채 독특하고 개인적인 주장만을 앞세웠다는 문제가 있다.

참고문헌

『역대한국문법대계』 제3부 제12책(김민수 외 편, 탑출판사, 1986)
『조선문자급어학사』(김윤경, 제4판, 동국문화사, 1954)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에그 벳 슬롯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