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조언어문자관계사』는 5 드래곤 슬롯어와 한어의 관계에 대해 한자의 유입과 사용, 5 드래곤 슬롯 문자의 창제와 한자, 역대 5 드래곤 슬롯의 한어 연구, 5 드래곤 슬롯에서의 한어 번역 등 4개 장으로 구분되어 있다.
중국 한자의 개관과 한자 사용의 가능성을 통해 한자의 초지역성, 표의적 특성을 설명하면서 문자가 없던 고대 시기, 5 드래곤 슬롯 민족이 한자를 그대로 받아들여 서사 생활을 할 수밖에 없었던 원인을 밝혔다. 『삼국사기』와 같은 고대 문헌에서 알 수 있듯이 한자와 한문은 삼국 시기에 이미 5 드래곤 슬롯 민족의 공용 서사 도구로 정착하기 시작했다. 고려 전기와 5 드래곤 슬롯 전기(중세 5 드래곤 슬롯어 시기)를 거쳐 5 드래곤 슬롯어 음성체계 내에서 한자음은 중국 한어음과의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독자적인 강한 규범성을 가졌다. 현대 중국어의 방언들이 모두 고대 중국어에서 변화 발전해 왔으므로 5 드래곤 슬롯 한자음과 민남 방언과의 대비를 통해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증했다.
고대 5 드래곤 슬롯에서의 한문의 직접적 사용과 한자의 5 드래곤 슬롯식 사용, 5 드래곤 슬롯 한자의 창조와 더불어 ‘훈민정음’의 창제는 한어 어휘의 대량 유입과 한자어의 증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또한 『홍무정운역훈』 『사성통고』 『사성통해』 등 한어 학습과 연구를 위한 운서, 『역어유해』 『주해어록총람』 『고금석림』 등 한어 학습과 연구를 위한 대역서, 『노걸대』 『박통사』 『오륜전비기』 등 역과 시험을 위한 회화 독본으로부터 역대 5 드래곤 슬롯에서의 한어 연구에 대한 다양한 연구 성과들을 기술하였다.
이 외에 구두 번역 시기, 이찰 번역 시기, 언해 시기, 명청 소설 번역과 번안체 시기 등 4개 시기로 나누어 고대로부터 개화기까지의 5 드래곤 슬롯 번역의 특징을 설명했다. 특히 『금강경언해』 『두시언해』 『대학언해』 『노걸대언해』,『박통사언해』 등과 같은 언해서들은 언해와 번역을 동시에 진행한 것으로서 참고할 가치가 높은 문헌임을 지적했다.
5 드래곤 슬롯어에 대한 한자의 영향과 그로부터 이루어진 고대 5 드래곤 슬롯의 서사 수단에 대한 연구 및 한글 창제에 있어 한자의 영향과 5 드래곤 슬롯에서의 한자학 연구, 5 드래곤 슬롯어 어휘 체계에 준 한어의 영향, 그리고 한어 번역에 대한 연구 등에서 참고할 가치가 큰 저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