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말의 어원을 찾아서 (슬롯 머신 확률 계산슬롯 머신 확률 계산아서)

문자
문헌
1990년 중국의 조선어 어학자 한진건이 조선말 어원에 대해 탐구하여 저술한 학술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머신 확률 계산습니다.
목차
정의
1990년 중국의 조선어 어학자 한진건이 조선말 어원에 대해 탐구하여 저술한 학술서.
내용

한진건은 총 720개의 조선말의 어원에 대해 탐구하면서 다음 8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① 전설, 역사 사실, 구전 이야기와 관련지어 단어의 어원슬롯 머신 확률 계산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임금’이란 단어의 어원은 단군신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환웅과 웅녀가 낳은 아들의 이름을 단군 왕검(王儉)이라 하였는데 여기서 말하는 ‘왕’은 ‘주(主)’, 즉 조선말 ‘님’이라는 것이고, ‘검(儉)’은 ‘신선’의 뜻을 나타내는 ‘신(神)’이라는 것이다. ‘님검’은 실지 사용 과정에서 첫소리인 ‘ㄴ’이 탈락되어 ‘임’이 되고, ‘검’은 ‘금’으로 변화되어 오늘날 ‘임금’으로 된 것이다.

② 고어와 관련지어 향찰, 이두, 훈민정음으로 표기된 중세어 가운데서 어원을 고증하는 슬롯 머신 확률 계산이다. 예를 들면 ‘가배(嘉俳)’란 말은 이두로서의 차자(借字)로, 오늘날 추석을 뜻하는 ‘가위’이다.

③ 단어 조성 접미사를 파악하여 기원슬롯 머신 확률 계산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미나리’는 중심어 ‘물날’과 접미사 ‘-이’가 결합되어 ‘물날이-무나리-미나리’로 변화되었다.

④ 발달된 의성 의태어와 관련시켜 단어의 기원슬롯 머신 확률 계산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고니, 기러기, 개구리, 종다리, 꾀꼴새 등이 여기에 속한다.

⑤ 추리법으로 단어의 기원슬롯 머신 확률 계산는 방법이 있는데, 오늘날 쓰이는 단어를 가지고 이미 없어진 단어를 추상하는 방법과 형태 또는 의미적으로 일부 단어의 외적 및 내적 관계를 추상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바람’이란 단어는 ‘불다’에서 기원한 것이다. ‘불+암-불암-부람-바람’의 과정을 거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⑥ 풀이법으로 기원슬롯 머신 확률 계산는 방법이다. ‘서까래’와 같은 단어가 여기에 속한다. ‘섶’과 ‘깔다’의 어간 ‘깔’과 단어 조성 접미사 ‘-애’가 합쳐진 것인데 이 단어는 현실에서 쓰이는 과정 중에 받침이 탈락되면서 형성되었다.

⑦ 어음(語音, 음운) 교체, 어음 변화의 분석을 통해 ‘무서움’ ‘구덩-구렁’과 같은 단어들의 기원슬롯 머신 확률 계산는 방법이 있다.

⑧ 다른 언어와의 연관 속에서 단어의 기원슬롯 머신 확률 계산는 방법이 있다. 여기에는 한자어와의 연관, 몽골어와의 연관(‘오랑캐’), 만주어와의 연관(‘사돈’), 일본어와의 연관, 범어와의 연관(‘건달’), 기타 언어와의 연관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8가지 방법은 슬롯 머신 확률 계산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으며 많게는 두세 가지, 적게는 한 가지 방법을 통해 그 어원을 따져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무려 720개의 어휘에 대한 어원을 8가지 슬롯 머신 확률 계산에 근거해 분석했으며, 중국에서 현존하는 어원 연구와 성과 중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참고문헌

『슬롯 머신 확률 계산어어휘사』(리득춘, 연길: 연변대학 출판사, 1988)
「중국어 상고음과 한국어 어원의 관계(漢語上古音與韓國語詞源之關係)」(김태완(金泰完), 『語言研究』 2012. S1)
「슬롯 머신 확률 계산어 어휘발전에서 나타난 문제(關於朝鮮語詞彙發展中的若干問題)」(리득춘·김기석, 『東疆學刊』 2002. 4)
집필자
김홍련
    • 항목 내용은 해당 슬롯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슬롯 머신 확률 계산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슬롯 머신 확률 계산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